지난 3월 중국산 절임 배추를 비위생적으로 만드는 '알몸 김치 영상'으로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서 수입 김치에 대한 불안감이 커졌다. 하지만 중국산 김치 주 소비처인 음식점의 중국산 사용 비율은 크게 줄어들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서 중국산 김치 파동 이후 국산 김치로 이를 바꿀 의향에 대해 물어봤더니 '없다'라는 응답이 67.9%에 달했다.
응답을 업종별로 살펴보면 중식(81.2%), 서양식(70.0%), 김밥 및 기타 간이음식점 (69.9%), 한식(62.6%), 일식(50.0%) 순으로 많았다.
실제로 중국산 김치 파동에도 불구, 올해 김치 수입액은 지난해와 비교해 큰 차이가 없었다.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 1∼5월 김치 수입액은 5932만4000달러(약 673억원)로 작년 동기 대비 2.7% 감소했다.
한국외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코로나19 등으로 경영난을 겪는 외식업체들에 중국산 김치를 단가가 비싼 국산 김치로 대체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산 김치 자율표시제'에 일정 기간 참여한 외식업체에 배추 가격 폭등 시 정부가 일정 부분을 지원해주는 방안을 고려할 것을 주문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