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외출 및 모임 자제, 운동 부족 등으로 대인관계가 축소되고, 불안, 우울, 불면,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국민이 늘고 있다.
또한 미취학 아동은 자신의 감정을 말로 충분히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이의 행동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야뇨증이나 손가락 빨기, 짜증, 공격성, 과잉행동, 식습관 변화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초등학생은 주로 등교, 등원을 거부하거나 집중력이 떨어지고, 아기처럼 퇴행하는 애착 행동과 두려움, 공격성 등이 증가할 수 있다.
이소영 교수는 "아이들은 어른들이 자신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사랑받고 있다는 것을 느낄 때 스트레스를 잘 극복할 수 있다. 아이와 자주 대화하면서 감정을 잘 표출할 수 있게 돕고, 스트레스 반응 정도를 꾸준히 살피는 것이 좋다. 스트레스 반응이 심하고 지속되면 신속하게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아직 대어는 없다" 7파전 신인왕 경합...팀성적도 고려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