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폐경 여성이 우울증에 더 취약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조기 폐경 그룹에서 우울증으로 진단받은 여성은 12.5%(10명)로, 월경 그룹(5.2%, 6명)보다 7.3% 포인트 더 높았다.
자살시도 위험성도 조기폐경 여성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지난 1년간 정신과 상담을 받은 조기 폐경 여성은 3.6%로 월경 그룹(2.6%)보다 높았다.
정명철 교수는 "조기 폐경의 여성은 임신이 불가능하다는 사실만으로도 심적 충격과 상실감이 크기 때문에 우울감과 스트레스가 증가해 우울증에 더 취약할 수 있다"며 "또 조기 폐경 후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감소가 복부지방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일 뿐만 아니라 우울증을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노지현 교수는 "폐경이 진행되는 동안 불안정하고 불규칙한 호르몬 생성으로 우울증 위험도가 2~3배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폐경 후 우울증이 발생하면 심혈관질환, 당뇨병, 대사증후군, 만성 통증 등 많은 질병의 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폐경 여성은 우울증 관리에 더 신경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조기 폐경이란 40세 미만 여성에서 폐경이 발생하는 경우로 여성의 1%가량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0세 미만의 여성도 0.1%에서 발생한다. 아직 뚜렷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다. 최근에는 '조기난소부전'으로 불린다.
이번 연구결과는 스코퍼스(SCOPUS) 등재 학술지 '산부인과 저널' 최근호에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무료로 알아보는 나의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