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의 경영 정상화 작업이 불투명해지면서 법정관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앞서 금호타이어 채권단은 지난해 12월 1조3000억원 규모의 차입금 만기를 조건부로 1년 연장하면서 오는 26일까지 노사 간 합의를 전제로 한 '자구계획안' 제출을 요구했다.
채권단은 이날까지 협약 체결이 실패하면 차입금 연장 등의 유동성 대책을 소급해 무효화 할 수 밖에 없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어 "회사는 남은 하루 동안 모든 구성원의 생존과 미래를 위해 진정성 있고 책임 있는 자세로 협상에 다시 임해주길 바라며, 늦었지만 기한 내 노사 합의를 통해 노사가 함께 경영위기를 극복하고 경영정상화를 달성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이에앞서 사측이 제시한 자구안 내용은 ▲경쟁력 향상 방안(생산성 향상·무급 휴무·근무형태 변경 등) ▲경영개선 절차 기간 임금동결 ▲임금체계 개선(통상임금 해소) 및 조정(삭감) ▲임금 피크제 시행 ▲복리후생 항목 조정(폐지·중단·유지) ▲불합리한 제도와 관행 개선 등이다.
그러나 노조측은 해외매각 중단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전국금속노동조합 금호타이어지회는 24일 "산업은행과 채권단이 추진하는 중국 더블스타 재매각 추진에 대해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호타이어 노조는 이날 "5년간의 워크아웃의 고통을 참아가며 지금까지 경영정상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며 "하지만 채권단은 26일 채권단협의회 이사회 개최를 앞두고 노사가 자구안을 제출하지 않으면 법정관리를 신청하겠다고 협박했다"고 밝혔다.
또한 노조는 "만약 산업은행과 채권단이 더블스타 해외매각을 추진할 경우 이를 철회하기 위해 구성원들은 총파업을 포함한 모든 물리적 수단을 동원해 투쟁할 것"이라며 "이런 결의에도 불구하고 더블스타 해외매각이 철회되지 않는다면 26일 제출하기로 한 금호타이어 경영정상화 자구계획안 제출을 거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