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근개 파열, 야구선수의 전유물 아니에요

박아람 기자

기사입력 2017-05-12 09:16



다양한 부상(負傷)은 야구선수를 따라다니는 숙명과 같다. 게다가 한 번 당하면 고질이 되기 십상이다. 류현진은 지난 1일 필라델피아 전에서 중전 안타로 출루, 후속 타자의 땅볼 타구 때 2루에 슬라이딩을 하는 과정에서 엉덩이 근육 부상을 당했다. 지난해에는 어깨 수술을 받기도 했다. 이승엽 역시 지난 4일 경기를 앞두고 허벅지 통증으로 그 주 주말 결장했다.

과거에는 이런 부상들이 운동선수들에게만 나타나는 증상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일반인들도 스포츠 동아리나 헬스장에서 선수급 강도로 운동하다가 부상을 입는 일이 늘고 있다. 대개 무리한 운동, 잘못된 운동법, 갑작스런 움직임 등이 그 원인이다.

운동 중 여기 아프면 '이 질환' 의심해야

회전근개 파열은 무리한 운동을 하는 사람들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어깨 질환이다. 회전근개는 어깨 관절을 움직이는 네 개의 근육힘줄로, 여기에 염증이 발생하면 힘줄이 약해져서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회전근개 파열은 이런 과정이 반복돼 나타난다. 투구를 연습하거나 무거운 운동기구를 반복적으로 드는 등 어깨 사용이 많을 때 이 질환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팔을 옆으로 올리거나 어깨 높이까지 올렸을 때 통증이 있거나 어깨 결림 증상이 나타나면 회전근개 파열을 의심할 수 있다. 팔을 뒤쪽으로 뻗었을 때 마찰음과 함께 통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앉거나 서 있을 때보다 누웠을 때 통증이 심해서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점프운동 선수들에게 많이 발생해 'Jumper's Knee'라고 불리는 무릎뼈 건염도 일반인들에게서 늘고 있는 질환이다. 무릎뼈 건염은 무릎 주위 조직에 염증이 생기거나 파열되는 질환을 통칭한다.

무릎뼈 건염은 점프, 러닝, 계단 오르기, 스쿼트 등을 할 때 자신의 신체 능력을 초과하는 힘이 지속적으로 신체에 가해질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걷고 뛸 때 무릎에 통증이 느껴지고, 부종이 동반될 때도 있다면 이 질환일 가능성이 있다.

부천 연세사랑병원 이재정 원장은 "운동은 삶의 질을 높이고 건강을 유지시켜주는 데 도움이 된다"며 "다만 부상을 예방하고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신의 신체 상태를 파악하고 운동량을 조절해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운동강도를 조절하는 현명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상 막고 운동 효과 높이는 '운동할 때 기억할 4가지'

어떻게 해야 부상을 예방하고 운동 효과를 제대로 누릴 수 있을까. 이와 관련해
부천 연세사랑병원 이재정 원장의 조언을 받아 '운동할 때 기억할 4가지'를 소개한다.

◆근력 운동할 땐 '근육'을 이용하라=근력운동은 팔과 다리를 흔들어 몸을 튀기는 '탄력'의 힘으로 하면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근육은 수축과 이완을 거쳐야 강화된다. 개수를 채우려고 서두르기보다는 근육이 늘어나고 줄어드는 움직임을 느끼며 천천히 운동하라.

◆유산소 운동할 땐 '다리'를 이용하라=걷기와 달리기, 러닝머신은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이다. 팔에 힘을 분산시키고 다리로 달린다는 느낌으로 뛰어야 몸의 균형을 잡는 데 도움이 된다. 기구를 이용할 때는 손잡이를 잡되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는 것이 좋고, 몸에 균형이 잡혔다는 느낌이 들 때 속도를 올리도록 한다.

◆운동이 전후에 '스트레칭'을 충분히 한다=간혹 운동 중간에 스트레칭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면 근육을 신장시켜 오히려 운동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스트레칭은 운동을 모두 마친 다음 충분히 하라.

◆통증 느끼면 즉시 '중단'하라= 트레이너에게 지도를 받지 않는 이상, 자신도 모르게 잘못된 자세나 과한 힘으로 운동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때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트레이너의 도움을 받아 운동 계획을 세우고 자신의 적정량을 파악하는 것을 권한다. 운동 중 통증이나 불편감을 느끼면 즉시 운동을 중단하고 정형외과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을 받도록 하자.

현장정보 끝판왕 '마감직전 토토', 웹 서비스 확대출시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