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7명은 사내정치로 인해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사내정치 때문에 피해를 입은 원인으로 '기업문화가 투명하지 않아서'(43.2%,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뒤이어 '사내정치에 동참하지 않아서'(41.6%), '사내정치 참여자들의 시기·질투 때문에'(34.9%), '팀장 등 윗사람이 무능력해서'(33.3%), '학연·지연·혈연이 없어서'(21.5%) 등의 이유를 들었다.
사내정치로 인한 스트레스 정도는 과반이 넘는 58.1%가 '무기력하고 화가 치미는 등 심한 수준'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 '짜증나지만 참을만한 수준'(30.6%), '매우 심해 병원치료를 요하는 수준'(8.2%), '크지 않고 미미한 수준'(3.1%)의 순이었다.
그렇다면, 근무 중인 직장에 사내정치로 능력보다 더 큰 이익을 본 사람이 있었을까?
무려 86.5%가 사내정치로 이익을 얻은 사람이 있다고 응답했다.
사내정치를 통한 혜택으로는 '능력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음'(62.5%, 복수응답)이 1순위였고, '승진'(61.3%)이 바로 뒤를 이었다. 계속해서 '연봉 인상'(41.9%), '사내 영향력 증가'(40.1%), '업무 외적인 편의 제공 받음'(35%), '핵심 업무 담당'(21.7%), '핵심 부서로 배치'(16.9%)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주변 사람들의 평가는 '아부로 살아남은 비열한 사람'(46%), '회사의 실세'(23.1%), '사회생활 잘 하는 사람'(21.9%), '일 잘하는 사람'(4.3%) 등으로, 부정적인 의견이 주를 이뤘다.
한편, 전체 응답자들은 직장에 주로 나타나는 사내정치 유형으로 '상사에게 아부'(45.5%,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같은 편 밀어주고 상대편 배척하기'(41.9%), '뒷담화'(41.1%), '의사결정 주도권 다툼'(40.9%), 'CEO 등 고위급 간부와 관계 형성'(36.6%), '승진 및 주요 보직 쟁탈전'(34.1%), '학연 및 지연을 통한 계파 형성'(24.5%), '한 쪽에 줄서기'(23%), '실적 가로채기'(21.7%) 등의 순이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