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룡영화상후보작

스포츠조선

K리그 유소년축구 정책의 혁신적 발전, 3가지 변하지 않으면 정체

김진회 기자

기사입력 2018-08-01 05:00





프로축구연맹의 유소년축구 정책이 혁신적으로 발전 중이다. 선진 시스템이 갖춰진 리그와 격차를 줄이고 있다.

연맹의 유스지원 로드맵은 크게 11가지로 나눌 수 있다. 유소년 육성 공감대 강화 지도자 역량 강화 유소년대회 개최 국제경기 경험 제공 선수지원 프로그램 유소년 디렉터 육성 유소년 시설 확충 선수 저변 확대 제도 개선 &규정 개정 포스트 유스(U-19~U-23) 정책 현황분석 & 방향수립이다.

그 중 가장 돋보이는 건 유소년대회 개최다. 지난 19일부터 경북 포항 양덕구장에서 진행된 K리그 챔피언십은 규모가 커졌다. 의미 있는 양적 확대다. 경기에서 소외되는 연령별 사각지대를 없앴다. 기존 고등부 대회에다 14세 이하, 15세 이하 대회가 처음으로 추가됐다.

중등부 선수들에게 최대한 많은 실전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질도 높였다. 전 경기가 야간에 진행됐고 격일제 경기로 열렸다. 영상분석시스템도 가동됐다. 101경기 전 경기에서 촬영된 영상과 분석 자료는 교육과 훈련을 위해 각 클럽에 제공된다. 선수는 물론 지도자, 학부모가 손쉽게 열람하고 공유할 수 있어 각 선수의 성장 과정을 체크 할 수 있다.

나머지 부분은 '유스 트러스트'라는 틀 속에서 정량화시키고 있다. 웬만한 축구선진국에서 사용하는 있는 벨기에의 유소년 육성 시스템 진단 프로그램인 '더블 패스'에 버금가는 유스 트러스트는 디테일 한 평가기준을 보유하고 있다. 2017년부터 시행됐는데 그 동안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된 각 구단 유스시스템의 데이터를 문서화시키고 축척해 한국 풀뿌리축구를 강화시키려고 노력중이다.

제도와 규정에도 과감하게 칼을 대고 있다. 글로벌 스탠다드를 뒤쫓고 있다. 대한축구협회와 함께 손을 잡고 입시제도 등 독특한 축구환경 속에서 학원축구와 상생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고 있다. 그 첫 걸음이 프로계약 연령조정과 준프로계약 제도 실시다. 연맹은 프로계약 가능 연령을 기존 만 18세에서 만 17세로 하향 조정했다. 또 K리그 산하 유소년 선수들에 한해 준프로 계약으로 프로 입성시기를 앞당겨 국제경쟁력 제고에 힘을 쓰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준프로 계약 이후 프로무대에 데뷔한 준프로 계약 선수는 없다.

정책적으로 이런 혁신적 발전 속에서도 한국의 풀뿌리축구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목소리가 높다. 세 가지 측면에서 변화가 필요하다. 첫째, 아무리 연맹이 제도적 완화 등으로 안간힘을 써도 입시제도가 폐지되거나 개선되지 않으면 구조적 모순에서 벗어날 수 없다. 여름에는 연령별 저학년들에게 K리그 챔피언십에서 뛸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지만 나머지 대회와 주말리그에선 여전히 기회를 잡기 힘들다. 축구 성적을 통해 대학을 가야 하기 때문이다. 지도자들도 육성보다는 진학에 초점을 맞춰 선수들을 키울 수밖에 없다. 학원 축구 현장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천편일률적인 정책 명분만 고수하는 교육부가 권위를 내려놓고 좀 더 협회, 연맹과 머리를 맞대지 않는 이상 한국 축구의 발전은 한계를 절감할 수밖에 없다.

둘째, 학원축구도 K리그 산하 유스팀과 동반성장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 K리그 유스팀들은 '유스 트러스트'의 평가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서라도 모든 걸 정량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반면 학원축구팀들은 아직도 지도자들 머릿속에만 들어있는 생각대로 운영되고 있다. 유소년축구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학원축구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스포츠 시설 확충이다. 한국 유소년 선수들은 상당히 열악한 환경에서 육성되고 있다. 지자체의 지원이 부족한 현실 속에서 운동장이 '맨땅'이라 인조잔디라도 깔린 운동장을 잡기 위해 이리저리 헤매는 팀도 있다. K리그 챔피언십 U-14 결승에 오른 부산 낙동중이 바로 그런 케이스다.

사실 지자체에선 축구시설 확충만 논할 수 없다. 종합스포츠형 시설이 필요하다. 독일 '골든플랜'에서 해답을 찾아보자. 독일은 2차대전 이후 국민의 건강증진과 인성회복을 위해 '골든플랜'을 가동했다. 1960년부터 15개년 계획으로 전국적으로 스포츠 시설을 건립, 현재 독일에선 누구라도 10분 이내에 다양하고 편리한 스포츠 시설을 즐길 수 있다. 또 1970년부터는 달리기와 수영 등을 지속적으로 하는 '트림액션'을 통해 국민들에게 '스포츠는 생활'이라는 인식을 확산시켰다. 정부는 7명 이상만 되면 누구나 클럽을 만들어 공공 스포츠 시설을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했다. 이런 환경 덕분에 독일에서는 전체인구의 70%가 10만여개의 스포츠클럽에서 활동하고 있다. 특히 청소년의 경우 유치원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포츠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했다. '축구강국'은 그렇게 탄생했다.

결론은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없으면 축구 발전의 정체기는 점점 심해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포항=김진회 기자 manu35@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