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시즌부터 올 시즌까지, 제주의 주력 포메이션은 3-4-1-2다.
안현범은 사실 윙포워드였다. 제주 이적 후 윙백으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하지만 위치만 윙백이지, 실질적인 움직임은 윙포워드에 가깝다. 그의 공격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선택이었다. 안현범은 단순히 측면 뿐만 아니라 페널티박스까지 과감하게 침투하며 공격 숫자를 늘렸다. 공격 포인트는 많지 않았지만, 공간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대단히 유용한 자원이었다. 상대가 이창민 권순형 윤빛가람을 의식해 중앙쪽에 수비를 집중시키면, 안현범 쪽으로 활로를 찾았다. 이창민이 더 자유롭게 전방쪽으로 전진할 수 있었던 숨은 이유 중 하나였다.
안현범의 가치는 또 있다. 제주는 스리백을 기본으로 했지만, 안현범의 위치에 따라 포백에 가까운 움직임을 보였다. 반대쪽의 전문 윙백 정 운이 내려서고, 스리백의 오른쪽에 포진한 김원일이 측면으로 옮기면서 형태가 완성됐다. 김원일이 안현범의 공격 가담시 뒷공간을 메워줬고, 때에 따라서는 정교한 킥으로 공격을 백업하기도 했다. 김원일은 지난 시즌 개인 최다 공격포인트(3골-1도움)을 기록했다. 포메이션상으로는 수비숫자가 많았지만, 실제 제주가 공격적인 경기운영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이같은 전술의 힘이 컸다.
측면 루트가 사라진 제주는 결국 중앙 위주의 단조로운 공격을 할 수 밖에 없게 됐다. 이창민의 중거리슛 비율이 부쩍 늘어난 이유다. 패스 공간이 많지 않다보니 직접 마무리까지 해야 했다. 야심차게 영입한 찌아구까지 부상으로 쓰러지며, 공격루트가 확 줄었다. 제주의 공격이 단순해진 이유다.
결국 제주의 매력적이던 전형은 좌우 윙백들이 내려선 단순한 파이브백이 돼버렸다. 숫자가 늘어나면 수비가 더 탄탄해져야 하는데, 오히려 정리가 안된 모양새다. 특히 중앙에서 수비를 리딩해야할 조용형의 노쇠화가 두드러지고 있다. 공중볼은 물론 상대의 스피드에 전혀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오반석의 부상 복귀가 절실해 보인다. 제주가 잘했던 전형이 무너지자 실점도 함께 늘어나고 있다.
결국 예견된 측면 공백을 제대로 메우지 못한 안일한 판단이 낳은 연쇄효과다. 차라리 포백으로의 전환도 고민해볼만 하다. 지금 제주의 측면 자원은 포백에 더 어울린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