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김진회 기자의 강스파이크]보유선수 늘리기, 프로배구 선순환 열쇠

김진회 기자

기사입력 2016-10-25 23:03



24일 서울 청담동 리베라호텔에서 열린 2016~2017시즌 V리그 남자부 신인 드래프트. 참가 선수 37명의 꿈은 하나, 프로 유니폼을 입는 것이었다. 그 중 꿈을 이룬 선수는 절반이 조금 넘는 21명(수련선수 5명 포함). 취업률은 56.8%에 그쳤다. 드래프트가 끝난 뒤 선수 부모와 친인척들의 탄식이 흘러나왔다. 그 사이로 가슴 아픈 이야기가 들렸다. "이런 상황이면 앞으로 어떤 부모가 배구선수를 시키겠느냐."

단순히 좋은 선수들이 부족해 프로 팀들이 지명을 포기했을까. 꼭 그런건만은 아니다. 제로섬의 제도 탓도 있었다. 사실 각 팀 내 사정을 들여다보면 이해할 수밖에 없는 부분이 있다. 바로 보유 선수 한도(외국인선수 제외 국내 선수 18명) 규정이다. 각 팀에서 신인 선수의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은 딱 하나다. 은퇴할 선수보다 발전 가능성이 있느냐다. 그래야 보유 선수 한도를 맞출 수 있다. 삼성화재가 좋은 예다. 15명의 선수를 보유하고 있던 삼성화재는 내년 1월 군에서 제대하는 박철우와 황동일의 복귀까지 염두에 둬야 했다. 한도 때문에 1라운드 1명과 수련선수 2명 밖에 뽑을 수 없었다.

탄력적인 운영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보유 선수, 즉 선수 풀(pool)을 늘리는 것은 프로배구 선순환 구조의 열쇠가 될 수있다. 현재 18명으로 한정된 보유 선수가 20~22명으로 늘어나면 1, 2군을 별도로 운영할 수 있다. 2군 리그 시스템도 정착시킬 수 있다. KOVO는 2군 리그 개념의 단기 대회를 계획 중이다. 일명 '퓨처스리그'다.

그러나 먼저 2군리그 운영을 왜 하느냐에 대한 근본적 고민이 선행돼야 한다. 2군은 1군 선수단의 경기력을 강화하는 측면이 있다. 가령 1군에서 부상자가 생겼을 경우 2군 선수와 교체해 전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 1군에서 생활 태도가 좋지 않은 선수를 2군으로 내려보내 와신상담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신인들이 실전 경험을 통해 경기력을 빠르게 끌어올릴 수 있는 무대가 될 수 있다. 2군 선수들에게도 정규리그가 필요한 이유다. 단기 대회는 큰 의미가 없다. 프로배구에서 연습생 신화는 더더욱 기대하기 어려워진다.

선수층이 두터워지면 자연스럽게 이적과 트레이드가 활성화된다. 샐러리캡(선수 연봉 총액 상한제)도 상향 조정될 수 있다. 제도에 탄력성을 위해서는 보유 선수 규모에 따라 샐러리캡을 차등 적용시킬 수 있다.

선순환 구조는 프로배구의 풀뿌리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KOVO가 2년 전부터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유소년 시스템이다. '팜(farm) 시스템'이 만들어지기 위해선 팀에서 유소년을 키울 수 있는 넓은 창고가 필요하다. 유소년 우선 지명 선수들을 신인 드래프트 3라운드 이후 선수와 수련선수와 마찬가지로 보유 선수 외로 정의한다고 해도 창고가 자체가 작으면 선수를 수용하기가 버거워진다. 미리 대형창고를 만들어 팀 내 시스템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물론 현실적 제약을 무시할 수는 없다. 선수가 많아지면 당연히 돈이 더 들게 돼 있다. 심지어 2군 버스 기사부터 2군 매니저 등 인건비가 오르게 돼 있다. 투자 대비 효율성에 의문을 가지는 팀들도 적지 않다. 그러나 언제까지 프로라는 얼굴 뒤에 아마추어리즘을 숨기고 있을 것인가. 여기저기서 고교 배구단이 해체되는 등 풀뿌리가 흔들리고 있는 시점에서 과연 언제까지 프로배구의 인기를 유지할 수 있을까. 끊임없는 변화만이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상생의 출발은 선수 풀 확대에 있다.

manu35@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페이스북트위터]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