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조광래 "차기 감독 2022년 카타르월드컵까지 지휘해야"

김성원 기자

기사입력 2014-07-17 16:31 | 최종수정 2014-07-18 06:48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 H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16강 진출에 실패한 홍명보호가 귀국했다. 홍명보 감독과 선수들이 30일 새벽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해 해단식을 갖던 중 축구팬이 던진 엿세례에 깜짝 놀라고 있다.
A대표팀은 사상 첫 원정 8강을 목표로 월드컵에 출전했지만 1무 2패의 성적을 거두며 H조 최하위로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인천공항=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2014.06.30/

2014년 브라질월드컵은 슬픈 월드컵이었다.

냉혹한 현실에 축구인으로 자괴감이 들었다. 그러나 축구 시계는 돌아간다. 또 다시 월드컵이 열리고, 한국 축구는 그 무대를 밟기 위해 또 도전할 것이다.

홍명보 감독의 사퇴로 A대표팀 감독직은 공석이다. 대한축구협회가 다시 시험대에 올랐다. 누구에게 '독이 든 성배' 들게 할지 관심이다. 냉정하게 말해 현 상황에선 국내 감독의 선임은 힘들다. 외국인 감독이 더 적합하다고 본다. 감독 선임에 우를 범하지 않기 위한 몇 가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감독 선임에 앞서 한국 축구 스타일을 어떤 방향으로 끌고 갈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먼저다. 그리고 스타일에 맞는 감독을 뽑아야 한다. 이름값에 취해 감독을 선임하면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없다. 물론 유명하다고 실패하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이름값보다 한국 축구와 감독 철학이 일치해야 된다.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축구 스타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성공 확률이 낮다. 결과에만 매몰돼서도 안된다. 내용과 결과를 50대50으로 놓아야 한다. 그래야 한국 축구 스타일을 단계별로 향상시킬 수 있다.

브라질월드컵에서 우승한 독일의 성공은 4~5년 만에 이뤄진 것이 아니다. 20년 전부터 유소년 축구에 변화를 주었다. 독일축구협회가 기본방침을 세우고 브라질 유소년 지도자를 영입해 20년 동안 지속적으로 기술적인 훈련을 한 결과다. 한국 축구도 '일확천금'을 기대해서는 안된다.

둘째, A대표팀 감독을 가까운 지인이나 에이전트를 통해 선임하는 것은 도박이다. 새롭게 꾸릴 기술위원들과 프로 감독, 역대 대표팀 감독들에게 조언을 듣고 선임해도 늦지 않다. 그들은 누구보다 현장을 잘 알고 있다. 한국 축구를 어떤 스타일로 변화시킬지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선임 과정을 숨길 필요가 없다. 감독 후보자들을 오픈하고, 여러 각도로 분석해야 한다. 개인적으로는 한국 축구 스타일에 변화를 주면서 지도할 수 있는 강한 스타일의 성격과 전술적인 측면에서도 유능한 지도자가 선임됐으면 한다.

셋째, 이젠 더 길게 봐야 한다. 2018년 러시아월드컵에 포인트를 맞춰서는 안된다. 2022년 카타르월드컵까지 보고 설계해야 된다. 그래야 성공한다. 2022년까지 함께한다는 생각으로 선임하고 4년 후 재평가해 더 보완하는 길이 최고의 해법이다. 감독 선임에 따른 불필요한 소모전을 피할 수 있고 예산도 절약할 수 있다. 한국 축구를 변화시키는 데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목표도 쓸데없이 높이 잡을 필요가 없다. 브라질월드컵에서 실패한 한국 축구가 러시아월드컵에서 목표를 8강으로 잡는다면 소도 웃는다. 기다리면서 팀 내실을 끌어올렸을 때 비로소 8강 목표를 이야기할 수 있다. 독일, 네덜란드, 아르헨티나와 조별리그에서 만나 한국 축구가 어떤 결과를 낼 지도 생각해봐야 한다. 그만큼 현실은 녹록지 않다.

대한축구협회는 독일축구협회를 본받아야 한다. 기다릴 줄 알아야한다. 헌신하고 싸울 수 있는 팀을 만들기 위해서는 더 치밀하게, 더 냉정하게, 더 단단하게 준비해야 한다.
전 국가대표팀 감독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