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고재완 기자] 배우 설경구가 주연을 맡은 영화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이하 니 부모)가 27일 개봉한다.
설경구는 "시나리오를 보고 굉장히 강렬하게 느껴졌었다. 이전에 김지훈 감독과 '타워'를 함께 했지만 그때와는 다른 느낌의 대본이어서 호기심이 있었다. 그래서 참여하게 됐다"며 "최근 영화를 처음 봤는데 나는 문소리와 천우희에게 감정 이입이 되더라. 영화를 답답하고 속상하고 되게 아파하면서 봤다. 가해자 학생의 부모가 아니라 피해자의 담임 천우희, 엄마 문소리에 이입이 돼서 봐지더라"고 전했다.
최근 '야차'와 '니부모'가 연이어 공개됐다. 그는 "'야차'는 대놓고 '나 매력있어'하는 캐릭터라 상당히 부담스러웠다. 반면 '니부모'는 개인 캐릭터보다는 어우러짐이 더 중요한 영화다. 전혀 다른 이야기고 또 다른 상황이고 다른 모습이다"라며 "'니부모' 촬영은 연극 같은 느낌이었다. 연극 같이 한 공간, 같은 시간은 아니고 많이 펼쳐져 있긴 하지만 연극하는 느낌이 많이 들었다. 그래서 서로 호흡도 더 중요했고 거기에 더 집중하려고 했다"고 말했다.
|
"영화에서 '용서받을 수 있는 기회를 부모가 없애버렸다'는 말이 나온다. 이 영화를 보면서 부모의 역할이 정말 중요하지 않나라는 생각을 했다. '자식은 괴물이 되고 부모는 악마가 됐다'는 카피가 기억에 남는다."
아들 강한결 역으로 나온 성유빈과는 영화 '나의 독재자'에서 함께한 호흡을 맞춰봤었다. "유빈이는 배우 자체가 묵직하다. 과묵하고 생각도 많은 것 같다. 강직한 느낌, 묵직한 느낌이 있더라. 성유빈이라는 배우가 어떻게 커갈지 궁금하다. 같이 연기할 때도 묵직함 때문에 더 믿을 수밖에 없다."
'니 부모'에서 담임 송정욱 역으로 천우희를 캐스팅한데 설경구가 큰 역할을 했다. "내가 먼저 천우희를 떠오린 것은 아니다. 원래 남자배우 캐릭터였는데 여성으로 가면 어떨까라는 제안이 나왔고 몇몇 후보가운데 나는 천우희가 눈에 띄더라."
천우희와는 이전 영화 '우상'에서 함께한 인연이 있다. "당시에 천우희가 정말 힘들었다. 눈썹까지 다 밀고 몇 달을 살아야했다. 그런데도 현장에서 웃으려고 하더라. '안힘드냐'고 물었는데 '힘들어하면 나아지겠어요?'라고 반문하더라. 머리가 '쾅'했다. 내가 배웠다. 난 그 경지까지 못올라가고 있었다. 그 이후에 나도 힘들지만 헛웃음이라도 웃자라는 것이 생겼다. 후배라서 평가할게 아니라 오히려 배우는게 더 많다. 나는 연기에서는 선후배가 없다고 생각한다. 그냥 서로 연기하는 동료지, 선후배는 없다고 얘기한다."
|
"(학폭은) 과거의 일이 아니고 현재진행형의 일이다. 어딘가에서 누군가는 괴로워하고 힘들어 하는 피해자가 있을 것이다.
코로나 시국에 아직도 개봉하지 못한 영화들이 많다. "어느 배우는 개봉하지 못한 작품이 6~7작품이나 된다고 듣기도 했다. 나는 그 나마 개봉을 해서 많이 털고 있는데 그래도 '소년들' '유령' '더문'이라는 작품이 개봉을 기다리고 있고 현재 촬영중인 '길복순'은 넷플릭스에서 공개된다.하루 빨리 정상화됐으면 좋겠다. 여름이 되면 정상화되지 않을까. 오늘부터는 극장에서 팝콘도 먹을 수 있다고 하니까 하루빨리 정상화돼서 영화도 개봉하고 현장도 원위치로 돌아갈수 있었으면 한다. 사실 현장도 비정상적으로 촬영이 진행되고 있다. 촬영도 많이 밀리고 확진자도 여기저기 생겨 촬영이 원활하지 않는다. 예전의 일상으로 돌아가고 싶다."
고재완 기자 star77@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