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이유나 기자]'선을 넘는 녀석들' 위태롭게 남겨진 우리의 독립운동지들이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고층 건물들 사이 자리잡은 이동녕 선생의 낡은 집은 아슬아슬한 모습으로 '선녀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전현무는 집값을 올리는 주인으로 인해, 위태롭게 유지되고 있는 집의 상황을 전했다. 이에 한고은은 "이 땅 얼마죠?"라고 걸크러시를 폭발, 이동녕 선생의 집을 지키고 싶은 마음을 드러내 눈길을 끌었다.
또한 폐공장 안 비석만 덩그러니 남아있는 '토교 한인촌'의 집터도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사유지이지만, '선녀들'은 허가 하에 들어올 수 있었다고. 토교 한인촌은 임시정부 요인들과 백여명의 가족들이 거주했던 곳. 설민석은 "하루라도 발 뻗고 잘 수 없는 일제의 감시 속, 그나마 그들에게 작은 천국 같은 곳이었다"고 소개했다. '선녀들'은 이곳에서 생활은 궁핍했지만 독립에 대한 희망으로 똘똘 뭉쳐 마음만은 풍족했던 그들의 삶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
설민석은 김구 선생의 어머니 곽낙원 여사의 표현을 빌려 "(한국광복군은) 윤봉길 의사의 피 값이자, 역사에 제대로 기술되지 못한 수많은 독립영웅들의 피 땀 눈물의 값으로 창설된 우리의 국군"이라며, 한국광복군 창설의 의미를 되새겨 모두의 가슴을 뭉클하게 했다.
뿐만 아니라 이날 '선녀들'은 임시정부가 험난한 이동 과정 속에서도 지켜내고자 했던 우리의 역사를 마음에 새겼다. 필사의 여정 중에도 임시정부 요인들은 500kg의 금속활자를 목숨보다 소중히 챙겼다고. 임시정부의 역사를 기록하고 후대에 남기기 위해서다. 또한 한국판 '안네의 일기'를 떠오르게 하는 양우조와 최선화 독립운동가 부부의 육아일기 '제시의 일기'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
사라져가는 우리의 독립운동지에서 되새긴 역사는 많은 것을 느끼게 했다. "남겼으면 기억해주는 사람이 있어야죠"라는 설민석의 소감이 깊은 울림을 남기며, 시청자들로 하여금 다시 한번 독립영웅들의 희생에 감사하는 마음을 갖게 했다. MBC '선을 넘는 녀석들-리턴즈'는 매주 일요일 오후 9시 5분 방송된다.
사진 제공 = MBC '선을 넘는 녀석들-리턴즈'
lyn@sportschosun.com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