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SC현장] "1억원 투입·세계최초"..'너를 만났다', 감동 더해줄 VR다큐 (종합)

문지연 기자

기사입력 2020-02-06 12:00


사진=MBC 제공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가상현실 속에서 잃어버린 가족을 만나게 된다면 어떨까. '너를 만났다'가 가상 현실로 가족과의 만남을 구현했다.

6일 오전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사옥 M라운지에서 MBC 특집 VR휴먼다큐멘터리 '너를 만났다' 기자간담회가 진행됐다. 행사에는 김종우 PD, 이현석 VR 제작PD가 참석했다.

'너를 만났다'는 가상현실, 인공지능, 실감콘텐츠를 이용해 잃어버린 가족을 만나게 해주는 프로젝트를 담은 다큐멘터리. 누군가의 기억 속 가장 만나고 싶은 사람을 VR(가상현실)로 구현해 따뜻한 기억의 순간을 다시 불러오게 된다. 사연의 주인공은 네 아이의 엄마였던 장지성 씨로, 3년 전 가을 일곱 살이 된 셋째 딸 나연이를 '혈구탐식성 림프조직구증'이라는 희귀 난치병으로 잃은 바 있어 안타까움을 더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딸을 다시 만난 장지성 씨는 딸을 잊지 않고 영원히 기억하겠다는 의미에서 이 프로젝트에 합류했다.

연출을 맡은 김종우 PD는 기획의도에 대해 "예전부터 지리산에 별을 보러 간다는 친구가 있었는데, '가족을 보러 간다'고 해서 그때부터 기획을 했다"며 "기억에 대해 생각을 많이 했다. 결론적으로 사는 것이 '기억'이라고 생각했고, '기억이라는 것이 무엇인가' 고민했는데 결과적으로 '너와 내가 했던 기억'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사람을 구성하는 요소란 무엇일지 생각을 해서, 몸짓이나 분위기를 구현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어서 쇼가 아니라, 사람의 마음에 스며들자는 생각으로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세상 없는 가족을 다시 만나는 일이 누군가에게는 상처가 될 수도 있을 것. 이에 대해 김 PD는 "(우리의 CG가)그 정도까지 몰입하기는 힘든 정도다. 그런 걱정은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좋은 기억을 엄마가 말할 기회가 필요했다. 나연이 가는 날에 열이 많이 나서 옆에 병상을 많이 차서 '나연아 그러지 마'라고 말하셨다고 하면서 우시더라. 마지막인 줄도 모르고 그러면 안 된다고 타일렀던 것을 후회했는데, 예를 들자면 그런 것들이 모티브가 됐다. 한 번쯤은 만나서 하고 싶은 말을 하는 것이 좋겠고 좋은 기억이 되겠다고 생각했다. 좋은 만남이 돼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가서 촬영을 할 때에도 뭔가를 별로 물어보지 않고 가만히 있어다. 좋은 기억을 만들기 위해서 인터뷰를 통해 애가 가진 행동들, 장난감 등을 구현해서 디지털 공간에서 엄마에게 좋은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신경을 썼다. 결과적으로는 어머니께서 블로그를 운영 중이신데, 좋은 기회가 됐다고 말씀을 해주셨다. 마음의 부담을 약간 덜었다"고 말했다.


사진=MBC 제공
VR제작을 담당했던 이현석 PD는 "프로젝트 제안을 들었을 때 신중할 부분과 염려할 부분이 있었는데, 그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어머님이 어떤 생각과 철학을 가지고 이 프로젝트에 임하는지 파악을 해야 했다. MBC에서 많은 대화를 나누면서 건강한 철학을 가지셨다는 것을 알게 됐다. 평소에도 아이가 세상에는 없고 먼저 떠났지만, 영원히 기억될 수 있는 아이가 되기를 원하셨다고 들었다. '이 아이를 내가 기억하지 않으면 세상에 없던 아이가 되니 기억하고 싶다'는 마음이 이해가 됐고, 아쉽고 슬픈 마음을, 한 번이라도 만나서 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작은 계기만 주어도 이 가족을 위로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됐다. VR이라고 하면 교육이나 의료용으로도 사용이 되지만, 엔터테인먼트적인 역할이 큰데, 인간의 마음을 치유까지는 아니지만 위로할 수 있는 콘텐츠로 만들게 되면 조금 더 기술이 사람들과 가까워질 수 있는 기술이 될 수 있겠다고 생각을 하게 됐다"고 밝혔다.

예고 영상에서는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장지성 씨가 "나연이와는 다르다"고 말하는 모습이 그려졌다. 기술의 적용이 완벽하게 이뤄지지는 못했다는 증거. 이에 대해 김 PD는 "전제로 해야 하는 것이 리얼타임 CG와 후보정 CG는 완전히 다르다. 멈춘 그림을 완전히 닮게 그릴 수 있지만, 이는 피규어를 닮게 만든다고 생각하시면 된다. 표정이나 각도에 따른 변화나 디지털휴먼이라고 알고 있는데, 그게 실제로 움직이고 말하고 표정을 짓는 것은 굉장히 다른 차원이다. 높은 기술력으로 구현을 했는데 전세계 누가 하더라도 부족하다는 걸로 이해해주시면 좋겠다. VR이라는 매체 특성상 결국에는 '거기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이더라. 체험하는 사람에 따라서 5분이 될 수도 있고 30분이 될 수도 있다. 어떤 시간을 겪는 거나 마찬가지다. 거기에 들어가서 어떤 공간에 있는 것 자체가 다른 느낌을 준다. 거기에 굉장히 큰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또 기술을 담당했던 이현석 PD는 VR과 기술적인 구현에 대해 "여러 질문이 있을 거라고 예상이 된다"며 "저희가 봤을 때 첫 번째는 어머님이기 때문에 이 아이에 대해 가장 잘 알지 않나. 조금 더 디테일하고, 차별점을 더 많이 보기 때문에 자기 아이와 다르다는 것을 많이 느꼈을 것 같다. 분명히 저희가 개발한 것은 그래픽이다. 실제 인간과는 같을 수 없는 게 기술의 한계다. VR콘텐츠를 개발하는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다. 촬영도 있고 VR도 있다. 프리랜더링은 영화에서 많이 사용하지만, 영화에서 CG로 사람을 만들어서 내보냈을 때 구분이 어렵지 않나. 그건 프리랜더링 기반에서 가능한 얘기다"고 입을 열었다.


사진=MBC제공

이어 "저희는 리얼타임엔진을 사용했는데, 인터렉션을 주기 위해 리얼타임엔진을 사용했다. 그 한계 때문에 조금 더 CG스러운 한계가 있었다고 판단이 된다. 기술적 한계는 분명히 있다고 인정했고, 나연이를 저희가 가상현실 세계에서 만나게 하기 위해서 노력한 부분들은 현실세계에 나연이가 없기 때문에 가진 데이터를 충분히 활용했지만, 실제 형체가 없기 때문에 힘들다고 생각해서 나연이와 가장 비슷한 체형의 아이를 3D스캔으로 베이스 모델을 만들었고 나연이의 사진이나 영상 베이스 데이터를 보면서 나연이의 모습을 완성했다. 동영상 자료를 연구했고, 나연이의 모습을 최대한 구현하려고 노력한 부분이 있다"는 설명을 덧붙여 이해를 도왔다.

목소리 재현에도 힘을 쏟았다. 김종우 PD는 "목소리를 구현을 하느냐 마느냐를 고민했다. 일본 NHK에서는 성우를 썼더라. 이공지능과 딥러닝이 요구되는 지점인데 1분에서 1분 50초 분량의 나연이 목소리만이 있기 때문에 불가능했는데, 다른 아이들의 목소리를 녹음해서 베이스화했고, 계속 녹음을 통해 목소리를 만들어냈다. 높낮이뿐만 아니라 말투도 있기 때문에 쉽지는 않았다. 들어보시면 말마다 다를 거다. 어떤 말에서는 '진짜 나연이 같다'고 생각했는데, 어떤 말은 또 다를 거다. 제가 볼 때는 5~60% 정도의 구현이라고 생각한다. 이 안에서의 진행은 AI는 완전한 AI로 진행하는 것은 인격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힘들고, 적절한 활용을 통해 대화를 구현해냈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너를 만났다'의 총 제작기간은 1년, 다소 짧은 기간에 1억원 정도의 제작비를 사용했다. 김종우 PD는 현실적인 제작비용에 대해 "제 월급을 제외하고 1억원 정도의 제작비에 맞췄다. 반 정도를 제작 CG를 위해 사용했지만, 해볼 만한 일이라고 판단을 해주셔서 돈을 따지지 않고 작업을 해주셨다"고 말했다.

그러나 '너를 만났다'는 세계 최초로 VR로 세상에 없는 사람의 모습을 구현했다. 이 PD는 "VR에서는 최초라고 할 수 있지만, 홀로그램에서는 예시가 있던 걸로 안다. 세상을 떠난 분을 CG로 구현한 것은 국내에도 해외에도 사례가 있는데, 국내에서 한 가족을 이렇게 만들고, 만나게 하는 프로젝트는 전 세계적으로도 최초이지 않을까 싶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김 PD는 "삶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SF들도 결국엔 가족 이야기다. 생각을 하다 보면, 옆에 있는 사람과의 삶이 무엇인지를 단순하게 전달하게 되는 것 같다. 예고를 보신 분들도 각자 해석을 하시는 것 같다. 제가 지금 가장 바쁜 와중에도 기분이 좋을 때는 자기 가족을 생각하시는 분들이 말씀을 많이 해주시더라. '공감이 됐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하며 시청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를 언급했다.

또 김 PD는 "이 프로젝트만 보시면, VR과 방송을 섞은 거라고 보시면 될 거 같다. 그 과정을 이벤트화해서 방송을 한 거다. VR과 방송을 융합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거라는 것을 저희 방송으로 보여드렸다고 생각이 든다. 기술적인 가능성을 보여드린 거라고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이 PD는 "이 프로젝트를 계기로 저희가 당장에 부흥이 되는 것 보다도 한 가족을 위해서 가족들을 위로하는 차원에서 집중한 것 같다. 다른 분들이 이야기하는 것을 들어 보면, VR이 인간의 마음을 뭔가 움직일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콘텐츠나 기술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프로젝트라고 생각한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가족들에게 새로운 추모 방법을 제시한다는 말도 하더라. 신종해야 하는 부분도 있는 거 같다. 어떤 기술이든 사람을 생각하는 방향으로 발전하면 좋겠고, 사업적 측면의 성장보다는 사람에게 행복을 줄 수 있는 콘텐츠가 되면 좋겠다"고 밝히며 기술적인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도 밝혔다.

6일 오후 10시 5분 방송되며, 3월 12일 방송에서는 본 방송 뒷 이야기를 공개한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