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인터뷰①] 남규리 "'이몽' 논란 아쉽지만..독립운동가 피와 땀 되새겼다"

문지연 기자

기사입력 2019-07-13 08:00


사진=코탑미디어 제공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배우 남규리(34)가 '이몽'의 의미를 되새겼다.

남규리는 2006년 그룹 씨야의 정규앨범 '여인의 향기'로 데뷔한 후 2008년영화 '고死 : 피의 중간고사'에 주연으로 출연하며 배우로도 데뷔했다. 2010년 이후부터는 연기자로 변신해 SBS '인생은 아름다워'(2010), '49일'(2011), KBS2 '해운대 연인들'(2012), JTBC '무정도시'(2013) 등에 출연하며 대중들에게 '배우 남규리'를 알렸다. SBS '그래, 그런거야'(2016) 이후 2년의 공백기를 거쳤고, 2018년 MBC '내 뒤에 테리우스'에 특별출연을 시작으로 연기활동을 재개했다. MBC '붉은 달 푸른 해'(2018)와 '이몽'(2019)에 이르기까지 쉼 없는 작품활동을 펼쳤다.

남규리는 '이몽'에서 경성구락부 재즈가수 미키 역을 맡아 열연했다. 초반 이영진(이요원)을 깔보고 무시했지만, 이후 이영진과는 단짝친구가 됐다. 또한 밀정의 밀정으로 활약하며 '이몽' 속의 히든카드로 자리매김했다. '이몽'은 MBC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준비한 200억원 대작 드라마로, 일제강점기 조선을 배경으로 일본인 손에 자란 의사 이영진과 무장한 비밀결사 의열단장 김원봉이 펼치는 첩보 액션 드라마다. 100% 사전제작 드라마로 전국 각지에서 지난해부터 촬영을 진행, 1년의 시간을 보냈다.

'이몽'은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해 만든 드라마인 만큼, 출연진들의 역사의식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남규리는 "아무래도 역사 공부를 하게 되더라.많은 분들이 염려하시고 제작발표회에서 많은 질의를 받았지만, 그런 부분에 있어서 역사에 의한 인물이라기 보다는 역사 속에서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캐릭터였다는 것이 저에게는 많이 다가왔다. 제가 가수 출신인데 이건 제가 해야 하고, 하고 싶은, 솔직히 기다려왔던 그런 캐릭터였던 거 같다"고 자신이 맡은 미키에 대해 말했다.

그러나 의도와는 달리 '이몽'은 약산 김원봉을 미화했다는 지적까지 받아야 했다. 사회주의자인 김원봉을 미화했다는 것이 지적의 이유였다. 이 논란들에 대해 남규리도 "안타깝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는 "아예 아쉽지 않다면 거짓말일 것이다. 늘 캐릭터나 작품에 애정이 있으니. 느낄 수 있는 행복을 많이 느낀 작품이다. 손에 꼽히는 작품 중에. 어떤 아쉬운 부분도 있지만, 그만큼 제가 정서적으로 감정적으로 혹은 많이 더 얻은 것이 많다고 생각한다. 아마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까 싶다. 정신적으로 스트레스가 많은 촬영이었다면 더 힘들지 않았을까 싶다. 이 작품 하나가 마지막은 아니니까. 저희는 계속 'Keep Going(킵고잉)' 하는 사람들이니까 좋은 현장이었다는 것만으로도 만족한다. 사실 안 좋은 현장이 훨씬 많지 않나. 안 그런데 시청률이 잘 나온 것도 노력의 결과라고 할 수 있겠지만, 우리가 나중에 어느 자리에서 만났을 šœ 좋은 호흡을 맞출 수 있는 사람으로 관계를 맺고 기다릴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도 얻기 힘든 현장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논란은 있었지만, 현장 분위기와 결과에 만족한다는 것.

또한 아쉬운 CG(컴퓨터그래픽) 등도 지적을 받은 바 있다. 남규리는 이에 대해서도 "저도 그래서 궁금해서 물어봤다. 여기저기에. 그래픽이라는 것이 드라마에서 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고 들었다. 저는 그런 부분은 잘 모르지만, 아쉽기도 했지만, 그게 그렇게 이야기의 맥이 살아있다면 모든 게 완벽할 수 없다. 옹호하는 것은 아니지만 현실적 측면에서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한다"고 소신을 밝혔다.


사진=코탑미디어 제공
남규리는 또 ""역사물이 어렵다. 대본을 보는 것도 어렵다. 어려운 작품이었고 뭔가를 풀어내기가 숙제가 많은 작품이었다 .대본을 보고 몇 번을 봐야 이해가 됐다. 하나하나 인물을 찾고 공부를 시작해야 했고 저희도 찾아보면서 공부해야 했어서 어려웠다"며 "이런저런 논란을 뒤로하고 저는 한 배우로서 역할에 충실하고 동화돼서 하는 것이 저의 숙제고 거창하게 말한다면 사명이다. 그렇기 때문에 제발회 때 질문을 들을 때도 제가 발언할 부분은 없었지만 막연하게 든 생각은 미키 캐릭터로 인해 이 무거운 주제가 잠시 잠깐이라도 벗어날 수 있는 기획가 되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졌다"고 말했다.

남규리에게 남은 것은 독립운동가들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었다는 점이었다. 남규리는 "독립운동이라는 것이 저희의 역사고 나라의 과거고 지금의 저희를 평범하지만 행복한 삶을 누리게 해준 선조들이 있어서 살게 됐다는 것이 피부로 느껴지는 작품이기도 했다. 살다 보면 불평불만을 하고 괴로운 순간이 많지 않나 .즐거운 기사보다 비극적 기사나 어떤 분들은 그런 말도 하더라. 아무 말이 없는 것이 좋은 시대라고 하기도 하는데, 조금은 그럴 때 제가 이런 드라마를 만나게 된 것은 저에게는 행운이었다고 생각하는 부분이 생기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다시 한 번 이런 삶을 살 수 있는 것에 대한, 어렵고 힘든 부분도 있지만, 다시 한 번 교만하지 않게 생각하는 계기가 됐고 선조들의 노고로, 피와 땀으로 저희가 이런 시대를 살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되새길 수 있었다. 작가님이 회식에서 그런 말을 하시더라. 우리 아이가 드라마를 봤을 šœ 수업시간에 어렵게 공부하는 인물이 아니라 드라마적으로 보여지면서 김구 선생님 등이 나오는데 그런 것을 쉽게 떠올릴 수 있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집필했다더라. 한 인물에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그런걸 보여주고 싶었다고 하더라. 역사를 잘 아는 사람은 아니지만 피부로 느끼면서 촬영했다"고 밝히며 작품의 의미를 되새겼다.

남규리가 출연한 '이몽'은 최고 시청률 7.1%(닐슨코리아, 전국기준)를 기록한 후 줄곧 4%대 시청률을 유지했으며 13일 마지막방송을 끝으로 막을 내린다. 남규리는 '이몽' 후 휴식기를 가지며 차기작을 검토한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