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SC초점] "기억해달라"…'귀향2' 괴롭고 고통스러워도 봐야할 이유 (종합)

조지영 기자

기사입력 2017-09-05 16:10



[스포츠조선 조지영 기자] 끝나지 않은 서글픈 이야기가 9월 극장가를 찾았다.

2016년 2월 개봉, 385만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극장가 뜨거운 울림을 전한 '귀향'의 속편 '귀향, 끝나지 않은 이야기'(이하 '귀향2', 조정래 감독, 제이오 엔터테인먼트 제작). 5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촌동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열린 '귀향2' 언론·배급 시사회를 통해 첫 공개됐다. 이날 시사회에는 평범한 가정집의 열 네 살 외동딸 정민 역의 강하나, 친오빠가 맞아 죽어가는 모습을 보고 충격으로 미쳐버린 순이 역의 박지희, 그리고 조정래 감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일본군 성 노예 문제에 경종을 울린 '귀향'은 지난해 국내 개봉 이후 해외 10개국 61개 도시, 1300여회 상영되며 위안부 문제를 알렸다. 하지만 1년이 지났음에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관한 진상규명과 문제 해결이 이뤄지지 않았다. 그 사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는 35명(2017년 8월 28일 정부 등록자 현황 기준)으로 줄었고 위안부 피해 생존자의 평균 연령은 90.5세를 넘어서게 된 상황.

이에 조정래 감독은 전편의 비하인드 스토리와 나눔의 집에서 제공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증언 영상을 더한, 더욱 묵직한 메시지의 '귀향2'로 다시 한번 관객을 찾은 것. 전작 '귀향'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기록과 위로였다면 '귀향2'는 이러한 피해자들에게 전하는 약속인 셈.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진정한 귀향과 동행을 약속하는 마음으로 제작된 속편이다.

가장 먼저 조정래 감독은 '귀향' 후속편을 준비하는 과정에 대해 "관객의 기적으로 만들어진 '귀향'이다. 영화가 한 번 상영할 때마다 이분들의 영혼이 귀향한다고 생각했다. 특히 일본에서 상영될 때 소감이 남다르다. 영화를 보고 일본 관객이 눈물을 흘리기도 했고 많이 반성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실제 일본 관객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사실여부를 물기도 했고 충격으로 받아들이기도 했다.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전 세계에 알리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조정래 감독은 앞서 불거진 젠더 감수성 결함 논란에 대해 "이 영화를 연출할 때 가장 조심스러웠던 부분이었다. 2002년 나눔의 집에 가서 할머님들의 이야기를 들었을 때 너무 충격을 받았다. 할머니들께서 성적인 학대와 폭행을 당했다. 이 영화를 만드는데 14년이 걸렸는데 주변에서 '네가 남자 관객으로서 이 영화를 만들어도 되느냐'고 물었다. 그 말을 듣고 고통스러웠다. 하지만 할머니들의 실제적인 증거를 문화적으로 만드는데 최소한의 표현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영화가 처음 만들어 졌을 때 나눔의 집 할머님들께 가장 먼저 보여드렸다. 그날 많이 떨리고 긴장됐다. 영화를 보신 이옥순 할머님이 해설자처럼 장면을 설명해 주셨다. 할머님께서는 '이 영화는 내가 겪은 100분의 1도 표현하지 못했다'라고 하셨다. 이 말을 듣고 힘들었다. 이후 '영화 만드느라 고생했고 고맙다'라는 말을 들었다. 할머니와 함께 전 세계를 돌면서 이 사건을 증명해려고 했다. 그럼에도 관객이 느끼는 고통에 대해 죄송하다고 전하고 싶다. 고통을 느낀 분들에게 앞으로 살아가면서 갚겠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여성의 몸을 보지 말고 고통받은 여성의 마음을 봐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조정래 감독은 "'귀향'은 소중한 증언집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다. 나눔의 집과 함께 상의하면서 철저히 고증한 작품인데, 특히 영화 속 일본군이 정민에게 지도를 주는 장면 역시 사실에 입각한 장면이다. 나는 '귀향'을 통해 일본의 시스템과 설계자들을 고발하려고 한다. 지금도 뻔뻔하게 공식적인 사과와 배상을 하지 않고 있는데 하루 빨리 사과하길 바란다"고 주장했다.


제일교포 4세인 강하나는 "정민이가 집으로 돌아오는 장면이 가장 인상에 남는다. 부디 소녀의 영혼이 고향으로 돌아갔으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하기도 했다"며 "이옥선 할머니가 위안소는 사형소와도 같았다는 증언이 가장 가슴에 남는데 그 당시 고통을 겪으셨던 분들의 고통이 떠오르면서 괴로웠다. 많은 분의 관심이 필요하다. 슬프고 아픈 역사를 기억해야 한다"고 거듭 부탁했다.

박지희는 "이 땅에 다시는 이런 고통이 일어나지 않길 바란다. 이 영화가 많이 알려져 사람들에게 지속적인 관심을 받길 바란다. 우리 영화가 길잡이가 되길 바란다. 영화가 가진 힘으로 할머니들을 위로하길 바란다"고 마음을 전했다.

한편, '귀향, 끝나지 않은 이야기'는 강하나, 서미지, 박지희, 홍세나, 김시은, 남상지, 최리 등이 가세했고 전편에 이어 조정래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오는 14일 개봉한다.

soulhn1220@sportschosun.com

마감직전토토, 실시간 정보 무료!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