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박영웅 기자] 타이거JK(본명 서정권)는 한국 힙합씬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다. 국내 힙합뮤직의 역사 20년에서 드렁큰타이거의 지분이 18년인 것만 봐도 그렇다. 단순히 두 자릿자 숫자가 갖는 묵직한 의미를 차치하더라도 그의 8장 음반은 힙합씬을 호령한 결과물이자, 장르음악의 대중화를 알린 신호탄과도 같았다. 1999년 세기말에 등장한 드렁큰타이거의 첫 인상은 그야말로 술취한 호랑이였다. 그가 다시 '호랑이가 랩하던 시절'로 돌아간다.
드렁큰타이거의 지난 8장의 앨범은 그의 삶에 대한 녹록치 않은 기록이다. 척수염을 앓고 소속사와의 분쟁 등 순탄치 않은 고통의 기간을 보내면서도 타이거JK는 직진했다. 그리고 꾸준히 자신의 길을 가고 있다. 힙합이 대중의 음악이 된 지금도, 여전히 그의 터전은 의정부 집이다. 이 곳에 녹음실을 꾸리고 음악의 가치만을 쫓는다. 음악인생 2막을 활짝 열 준비도 마쳤다. 아내 윤미래와 동료 래퍼 비지와 함께 꾸린 그룹 MFBTY 활동은 물론, 래퍼 도끼와 지난해 후배 양성을 위해 설립한 레이블 굿라이프크루까지, 프로듀서로서의 활동도 이어갈 계획이다.
강산도 변했고 힙합씬도 변했다. 국내 힙합의 초창기 시절, 에픽하이 다이나믹듀오 리쌍 등 지금은 날고 긴다는 래퍼들이 한데 모인 무브먼트 크루의 정상에 서서 씬을 아울렀던 힙합씬 큰 형님이다. 힙합이란 단어는 이미 흔한 것이 됐다. 가치와 영혼이 증발된 래퍼들이 저마다 스웨그 타령만을 할 때 다시 드렁큰타이거가 온다.
술 취한 호랑이가 다시 신들린 음주 래핑을 시작한다.
|
벌써 9집이더라. 꾸준히 내 길만을 걸어왔는데 요즘 시스템과 좀 다르다보니 활동을 안하는 사람으로 인식되어 있었다. '힙합 음악이 완전 대세가 됐는데 왜 음악 안하세요?'라는 질문도 꽤 들었다. 분명히 페스티벌, 콘서트, 그룹 MFBTY 등 여러 활동을 해 왔는데 드렁큰타이거 활동이 없으니 숨는 것처럼 비춰왔던 것 같다. 그동안 드렁큰타이거의 음악을 대중에 다시 들려줄 수 있는 최적의 타이밍을 기다려 왔다.
- 그래도 드렁큰타이거의 마지막 앨범이라고 규정한 이유는.
드렁큰타이거란 타이틀로 발표하는 마지막 앨범이라는 의미였는데,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는 기사를 보고 은퇴하냐고 묻는 지인들의 전화도 많이 받았다. (웃음) 드렁큰타이거의 마지막 앨범이라 말씀드린 이유는 국내 가요계에서 힙합이 갖는 여러 상황도 한 몫한 것 같다. 예전에 힙합은 신기한 음악이었지만 지금은 대중에 친숙한 장르가 됐다. '스웨그'랑 '디스'란 말도 이제 흔한 단어가 되지 않았는가. 정치인들도 쓰더라. 어쩌면 그렇게 변하는 패러다임에 내가 적응하지 못했는지도 모르겠다. 세상에 나온다는게 뜬금없다는 느낌 말이다. 요즘 스타일로 옷을 입고 요즘 리듬에 맞춰 움직인다는 것, 젊은 친구들이 좋아하는 주제와 단어를 쓴다는 게 내겐 이상했다. 아무래도 제 자리를 찾지 못했던 것 같다. 배움의 시간이었다. 하지 말라하면 더 시험해보고 해보고 싶은 마음이 생기듯이. 그래도 드렁큰타이거 음악을 그리워하는 팬들이 있다는 사실을 잘 알기에, 이제 음악을 들려줄 용기가 생겼다.
- 뭔가 마음가짐에 대한 변화, 자세가 달려졌다고 해야하나.
역시 영원한 유행은 없는 것 같다. 예전의 힙합은 마니아들만이 그 가치를 알아줬다. 차트에 노래가 없어도 말이다. 마니아들이 찾아 듣는 음악, 차트에 없어도 되는 음악. 마지막 앨범이라 정한 이유가 있다. 드렁큰타이거의 마지막 앨범이란 장치 안에서는 타임머신을 탈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래야만 이해가 되는 수단 같은 것 말이다. 분명 드렁큰타이거 그때 그 색깔의 음악을 그대로 가져올 것이다. 그때 정신상태나 음악, 주제나 줄거리 등 여러 면에서 마지막이 타당하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그 다음부터는 내가 하고 싶은 음악을 들려주면 되니까. 마지막 앨범이라 정해야 나도 편한 마음으로, 예전의 내 음악을 들려줄 수 있을 것 같았다. 시간여행 하듯이.
- 현재 9집의 작업은 어느 정도 진행이 됐나.
지금은 작업이 잠시 중단된 상황이긴 하다. 주위 환경이나 상황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다. 요즘엔 시국에 대한 모든 소식을 접하면서 뉴스 덕후가 됐다. 하지만 이것 또한 내가 겪고 있는 것이니까 소소한 삶에 대해서 고루 생각한다. 언제나 그랬듯 한편의 영화처럼, 인생에 대한 것들, 그것은 신세한탄일 수도 있고 기존 곡들에 대한 후속편 성격의 노래가 수록될 수도 있다. 드렁큰타이거로 활동하면서 개인적으로 결정적이었던 노래들, 그것들에 대한 시리즈의 후속편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 드렁큰타이거는 어떤 의미인가.
아쉽다. 하지만 그 느낌이 오히려 반갑다. 물론 비즈니스적으로 생각하면 드렁큰타이거로 계속 앨범을 내는 것도 좋겠지만, 제 성격상 음악과 비즈니스가 충돌이 있어야 오히려 재미를 느낀다. 마지막 앨범이니까 영원할 수 있는 음악을 만들어야 한다고 다짐한다. 난 아직 철이 안든채로 그 안에 갇혀 있는데 어느덧 세월이 이렇게 흘렀다. 이제 와서 고마운 분들을 많이 만나고 느끼고 있다. 예전엔 응원의 말들이 예의상 하는 덕담이라 느낄 때도 많았다. 하지만 당시 내 음악에 열광해주던 30대 분들이 어느덧 50대더라. 그분들도 내 복귀 기사를 접했을 때, 같은 생각을 하셨나보더라. 드렁큰타이거 마지막 앨범 9집은 사실 그분들을 위해 만드는 음악이다. 차트에는 없어도 찾아들을 수 있는, 그리고 그들끼리 의견을 활발히 공유하던, 시간여행 하듯이 내 음악을 즐겨주셨으면 좋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