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백지은 기자] 이번에야 말로 오명을 벗을까.
'2016 SAF SBS 연기대상'이 31일 오후 9시 서울 마포구 상암동 SBS 프리즘타워에서 열린다. SBS 연기대상은 대대로 지상파 3사 연기대상 시상식 중 최악이라는 혹평을 들어왔다. 수상 부문을 지나치게 세분화한데다 공동수상을 넘어선 떼수상이 성행하고, 시상식 불참자나 흥행에 실패한 드라마의 경우엔 철저하게 무시하며 시상식의 의미와 권위를 하락시켰기 때문이다.
SBS 역시 이런 분위기를 인지한 것인지 2011년~2013년까지는 안정적인 수상을 이어갔다. 그러다 2014년부터 다시 흑역사를 기록하기 시작했다. 특히 2015년은 SBS 역대 연기대상 중 최악의 평을 들었다.
일단 대상 후보 논란이 일었다. SBS는 시상식 전 김래원 주원 김현주 유아인이 최종 대상 후보로 확정됐다고 공식 발표했다. 유력한 대상 후보였던 조재현('펀치') 김희애('미세스캅') 등이 제외된 결과에 시청자들은 의구심을 가졌다. 그리고 막상 시상식이 시작되자 더욱 아이러니한 결과가 나타났다.
최종 대상 후보로 확정됐던 김래원이 무관에 그친 것이다. 물론 김래원은 프로듀서상을 받긴 했지만 이는 지상파 3사 PD 투표로 결정되는 상이기 때문에 SBS 연기대상 자체적인 수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에 시상식에 불참해 수상에서 누락된 게 아니느냐는 의혹이 일었다. 실제로 '가면'에서 열연했던 수애, 김희애, '육룡이 나르샤'를 이끈 김명민 역시 불참과 동시에 무관으로 끝나 의혹을 키웠다.
여기에 특별상이 사라지고 중국 네티즌 인기상이라는 알 수 없는 상이 신설돼 시청자를 당혹게 했다. 국내 연말 시상식에서 굳이 중국 네티즌들의 투표 결과까지 반영해야 한다는 것을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그렇다면 'SAF SBS 연기대상'은 이 치욕을 씻어낼 수 있을까.
우선 SBS 특유의 나눠주기 시상은 여전할 전망이다. SBS는 드라마를 미니시리즈, 중편, 장편 부문으로 나눠 시상을 진행했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부터는 판타지, 로맨틱, 장르, 장편 등 네 분야로 나눠 시상한다. 네 분야에서도 특별 연기상, 우수 연기상, 최우수 연기상으로 세분화해 상을 수여한다. 어쨌든 수상자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대신 불참자 보복성 수상 논란을 피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이번에도 드라마 촬영 스케줄을 소화하고 있는 지성을 비롯해 불가피하게 시상식에 참석할 수 없는 스타들이 있다. 이들도 지난해처럼 무관에 그칠 것인지, 아니면 각자의 기여도에 따라 합당한 보상을 안길 것인지 팬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SBS는 SBS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페스티벌이라는 의미에서 'SAF'라는 기치를 내걸었다. 과연 이번 연기대상이 화합의 장이 될 것인지, 아니면 지난해에 이은 또다른 촌극으로 끝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silk781220@sportschosun.com
'핵꿀잼' 펀펌+'핵미녀' 디바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