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아이맥스' '4DX' '스크린X' 무슨 차이인지 알아?

고재완 기자

기사입력 2016-12-02 11:34



[스포츠조선 고재완 기자] '아이맥스'? '4DX'? '스크린X'? 극장 플랫폼도 다채널 시대다.

관객들은 정확히 뭘 의미하는지 잘 모르는 새로운 플랫폼이 끊임없이 등장하고 있다. 아직도 "'아이맥스'는 뭐고 '스크린X'는 뭐지"라고 묻는 관객들이 많다.

'아이맥스'는 보통 일반적인 영화의 스크린보다 10배 정도 큰 초대형 스크린의 영화로 지칭되지만, 사실 캐나다 아이맥스사의 필름 포맷을 말한다. 때문에 각 극장사업자도 자체적인 대형 스크린 플랫폼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CGV도 아이맥스와 제휴했지만 '스타리움'이라는 자체 플랫폼도 가지고 있다. 롯데시네마도 슈퍼플렉스G관을 보유하고 있다.

'스크린X'는 2013년 CGV와 KAIST가 공동 개발에 성공한 다면 상영시스템이다. 기존 극장이 정면 하나의 스크린만을 사용했다면 스크린X는 정면 스크린뿐 아니라 양 옆 벽면까지 사용해 3면 스크린을 구현한 것을 의미한다. 전세계 107개관이 구축돼 있으며 2020년까지 1000개관을 오픈한다는 계획이다.

'4DX'는 CGV가 독자 개발해 지난 2009년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오감체험 특별관이다. 모션 체어와 특수 환경효과 장비들이 설치돼 영화 장면을 따라 의자가 움직이거나 진동이 발생하고, 바람이 불고, 물이 튀는가 하면 향기까지 나는 다양한 오감 효과를 제공한다

이처럼 다채로운 스크린 플랫폼을 만드는 이유에 대해 최병환 넥스트CGV본부장이 2일 서울 용산CGV에서 진행된 'CGV영화산업 미디어포럼'에 참석해 설명했다. 최 본부장은 "극장 사업은 매몰비용, 즉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드는 사업이다. 그래서 보통 극장사업자들은 새로운 플랫폼 투자에 인색하다. 극장만 세워놓으면 되기 때문이다"라며 "하지만 CGV는 새로운 플랫폼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중국의 스크린수가 올해 3분기에 미국을 넘어섰다. 하지만 매출액은 아직 미국에 뒤졌다. 극장은 많이 지어놨지만 경쟁만 더 치열해지게 됐다"며 "여기에 새로운 경험에 대한 수요가 시장에서 점점 커지고 있다. 이는 전세계적으로 마찬가지다"라고 설명했다.

일반 극장에 식상해진 관객들이 늘 새로운 플랫폼을 요구하고 있고 극장 사업자들도 홈시어터에 관객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끊임없이 새로운 플랫폼을 개발해야한다는 것이다.


고재완 기자 star77@sportschosun.com

'왜 사냐건 웃지요'...핵꿀잼 '펀펌' [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