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분명 입체면은 다 통과 못한 것 같은데...ABS 시대, 이런 마구는 어떻게 치나

김용 기자

기사입력 2024-08-14 10:48 | 최종수정 2024-08-14 11:07


분명 입체면은 다 통과 못한 것 같은데...ABS 시대, 이런 마구는 어…
◇곽도규의 커브가 좌타자 등 뒤로 가는 느낌이 들 정도로 출발한다. 사진출처=중계 화면 캡처

[스포츠조선 김용 기자] 이 공은 어떻게 치라는 거야?

2024 KBO리그는 엄청난 변화 속에 시작됐다. ABS, 로봇심판이 세계 최초로 등장했다. 공정성을 최우선으로 한 KBO와 허구연 총재의 야심작이었다.

초기 일관성 문제 등으로 이슈가 있었지만, 그래도 나름 잘 정착을 하고 있는 느낌이다. 타자와 투수들도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판정이 나오다, 이제는 그러려니 하고 인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13일 열린 키움 히어로즈와 KIA 타이거즈의 경기를 보며 든 궁금증 하나. 과연 ABS는 처음 시행될 때 설명대로 입체적이고, 과학적인 존으로 운영되고 있나 아니면 그저 '네모 안에 공 집어넣기' 게임이 돼버렸냐다.


분명 입체면은 다 통과 못한 것 같은데...ABS 시대, 이런 마구는 어…
◇거의 임병욱을 맞힐 뻔한 공이 휘어져 들어가는 모습.  사진출처=중계 화면 캡처
상황은 6회말 키움 공격. 2사 1루 상황 임병욱이 들어섰다. KIA 투수는 좌투수 곽도규. 1B2S 상황서 KIA 포수 김태군은 바깥쪽 볼을 요구했는데, 공은 안쪽으로 파고들었다. 스트라이크. 원래 이렇게 편차가 큰 역투 상황 사람 심판은 손을 들어주지 않는 경우가 많았는데, 기계는 자비가 없다. 스트라이크였다.

그런데 임병욱은 황당해했다. 도저히 칠 수 없는 공이었다. 일단 중계 화면에 나오는 스트라이크존에서도 약간 벗어난 것으로 보였다. 라인에 걸쳤다고 치자. 그런데 곽도규는 스리쿼터로 공을 던진다. 좌타자가 보기에는 등 뒤에서 공이 날아오는 것 같다. 더군다나 구종이 휘어져 들어오는 커브였다.

이게 왜 문제냐. ABS를 처음 홍보할 때를 돌이켜보자. 당시 화제가 된 게 포수 미트가 바닥에 닿인 채 공을 잡았는데 스트라이크라는 것이었다. 낙차 큰 커브가 입체 존을 통과할 때 시작점과 통과점 존 안을 통과하면, 마지막 잡는 지점이 어디이더라도 ABS는 스트라이크 판정을 내린다는 것이었다.


분명 입체면은 다 통과 못한 것 같은데...ABS 시대, 이런 마구는 어…
◇포구 직전까지 홈플레이트를 통과하는 궤적을 확인할 수 없다.  사진출처=중계 화면 캡처
그렇다면 곽도규가 임병욱을 상대로 던진 공은 볼처럼 보인다 존 바깥쪽에서 휘어져 들어오다, 마지막 포수 미트에 꽂힐 때 경우 네모 존 끝에 걸친 걸로 보였다. 그저 평면의 존 안에서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은 것처럼 보였다.


KBO 관계자는 "상-하가 아닌 좌-우는 입체면의 중간면만 걸쳐도 스트라이크 판정이 나온다. 곽도규의 공은, 정말 미세하게 공 끝이 존 끝 부분을 걸쳐 들어간 경우다. 기계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투수가 의도하고 던졌다면, 정말 잘 던니 공이라고밖에 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역투에, 극단적인 백도어성 공이라 사람 심판이면 고개를 가로저었을 확률이 높은 공이었다. 하지만 ABS에서는 엄청난 결정구가 됐다.


분명 입체면은 다 통과 못한 것 같은데...ABS 시대, 이런 마구는 어…
◇스트라이크. 이걸 어떻게 치나. 마구다. 사진출처=중계 화면 캡처

김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