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나유리 기자]KBO리그 구단들의 마무리캠프 '탈일본' 현상이 이어지면서, 일본 지방자치단체들이 난감해하고 있다. 미야자키 교육리그에도 불똥이 튈까 일본프로야구(NPB)도 염려 중이다.
또 하나 고민했던 부분이 '미야자키 피닉스 교육리그'다. 올해로 16회째를 맞는 교육리그는 일본 미야자키 지역에서 치러진다. NPB 12개팀은 물론이고, 독립리그 팀들과 한국팀들도 참가한다. KBO리그팀 중에서는 삼성 라이온즈, 두산 베어스, 한화 이글스가 참가해왔다.
미야자키 교육리그는 한국팀들에게도 많은 인기를 누려왔다. 유망주급 선수들의 기량 향상을 위해 열리는 캠프지만, 1.5군급이나 육성형 외국인 선수 등 수준급 선수들이 상당수 참가하기 때문이다. KBO리그 구단들도 1군 백업 요원들이나 기대주인 유망주들의 성장을 위해 교육리그 참가를 선호한다. 그동안 두산의 '화수분 야구'도 이런 교육리그의 긍정적인 영향이 컸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들 뿐 아니라 다른 구단들도 미야자키 교육리그에 참가하고 싶어하지만, 자리가 없어 참가를 못하고 있다.
NPB의 노력도 있었다. 교육리그만큼은 참가해달라는 당부와 함께, 사이토 아츠시 커미셔너가 참가 구단들에게 "대회 기간 동안 한국 선수들의 안전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KBO리그 구단들은 큰 고심 끝에 어렵게 참가 결정을 내렸다. 뒤숭숭한 분위기 속에 한일 야구의 관계도 새 국면을 맞았다.
나유리 기자 youll@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