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한국야구미래협의회 발족앞두고 김응용 회장 혁신촉구 왜

박재호 기자

기사입력 2018-09-16 10:03


◇제73회 청룡기고교야구선수권 시상식. 김응용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회장이 금메달을 걸어주고 있다. 목동=정재근 기자 cjg@sportschosun.com/2018.07.23/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대표선수 선발 잡음과 경기력 저하를 놓고 불거진 논란이 야구계 혁신 요구로 이어지고 있다. 정운찬 KBO(한국야구위워회) 총재는 지난 12일 기자회견을 갖고 사과와 함께 이른바 'KBO-KBSA(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한국야구미래협의회' 구성을 약속했다.

협의회 발족을 앞두고 KBSA 김응용 회장이 목소리를 높였다. 김 회장은 최근 "기존 야구계를 기웃거리는 인사들에게 자리 하나를 더 주는 형식의 협의회가 되어서는 곤란하다. 시작부터 철저하게 혁신을 마음에 담고 출발해야 한다. 산적한 과제가 많다. 자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야구미래협의회는 KBO 5명, KBSA 5명 등 총 10명으로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협의회 내에 최근 국민적 관심사가 된 대표선발 공정성을 위한 TF팀이 구성된다. KBO는 아직 KBSA에 구체적인 협의회 발족관련 공문을 접수시키지 않은 상태다. 조만간 정 총재와 김 회장이 만나 논의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시작 단계부터 김 회장이 목소리를 높인 이유는 뭘까. 지금까지 야구계 현안을 논의하는 각종 협의회나 위원회, 기구 등의 구성 과정에서 보여준 구태 때문이다. 참신한 인사를 통한 혁신이나 개혁보다는 기존 야구계 인사들의 나눠먹기식 인선이 많았다. '좋은 것이 좋은 것'이라며 서로 다독이며 격려하며 덮어주던 관행이 여러 가지 문제들을 낳았다.

벌써부터 구성멤버는 '그 나물에 그 밥일 것'이라는 얘기가 나돈다. 또 정 총재가 실업야구 재건 약속까지 했지만 실행까지는 갈 길이 멀기만 하다. 아마야구의 부실과 대학야구의 고사 등 현안도 산적해 있다.

한국야구미래협의회는 이같이 급박한 상황에서 만들어지는 프로-아마통합 혁신기구다. 김 회장은 하는 김에 제대로 해보자는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KBSA는 현재 협의회 멤버를 물색중이다. 프로야구 출신 중 비교적 젊고 인사들을 추천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재호 기자 jhpark@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영상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