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준PO]5연속 몸쪽 승부, 허프없는 LG 상상 못해

함태수 기자

기사입력 2016-10-16 17:07


넥센 히어로즈와 LG 트윈스의 2016 KBO 포스트시즌 준 플레이오프 3차전이 16일 잠실구장에서 열렸다.
7회초 2사 3루 넥센 김지수를 헛스윙 삼진으로 잡으며 무실점으로 이닝을 마친 LG 허프가 환호하고 있다.
잠실=정재근 기자 cjg@sportschosun.com/2016.10.16/

몸쪽-몸쪽-몸쪽-몸쪽-몸쪽. 왜 LG 트윈스 팬들이 그토록 데이비드 허프(32)에 열광하는지, 이 한 장면이면 설명이 가능했다.

'에이스' 허프가 또 한 번 값진 호투를 했다. 허프는 16일 잠실구장에서 열린 넥센 히어로즈와의 준플레이오프 3차전에 선발 등판, 7이닝 5안타 1실점으로 4대1 승리를 이끌었다. 98개의 공을 던지면서 볼넷이 1개 밖에 없었고, 포심 패스트볼, 컷 패스트볼, 체인지업을 자유자재로 던지며 넥센 타선을 봉쇄했다. 데일리 MVP는 결승 홈런 주인공 유강남이었지만, 허프도 이에 못지 않은 공을 세웠다.

백미는 2-1이던 7회 1사 3루에서 이택근과의 승부다. 뜬공 하나면 동점이 되는 상황. LG 내야수들은 모두 전진 수비를 하고 있었다. 3루에는 넥센에서 가장 주루 플레이가 빼어난 유재신이 언제든 뛸 준비를 하고 있었다. 여기서 허프가 이겼다. 볼카운트 2B2S에서 몸쪽 직구로 1루수 플라이 처리했다. 지난 2003년 1군에 데뷔한 '베테랑' 이택근조차 대처하기 어려웠던 배짱투. 만약 LG가 허프를 영입하지 않았다면, 몸쪽이 아닌 바깥쪽 승부를 펼쳤다면, LG 승리는 없었을지도 모른다.

허프는 정규시즌에서 피안타율이 2할5푼4리다. 주자가 없을 때 2할2푼4리, 득점권에서는 3할2푼4리로 꽤 높다. 그런데 동점주자가 있을 때는 피안타율이 뚝 떨어진다. 1할4푼3리밖에 되지 않는다. 기록은 틀리지 않았다. 이택근을 상대로 초구 체인지업(130㎞)을 바깥쪽으로 떨어뜨린 뒤 2구부터 6구까지 모두 몸쪽 승부를 펼쳐 내야 플라이로 돌려 세웠다. 소위 말하는 먹힌 타구를 만들어 내야 땅볼이나 얕은 뜬공을 유도하겠다는 의도였고, 이것이 적중했다.

그런데 이 같은 볼배합은 말처럼 쉽지 않다. 같은 코스로 비슷한 공을 잇따라 던질 경우 타자의 눈에 익기 때문이다. 통상 지도자들은 "같은 코스로 3개의 공을 연달아 던지지 마라"고 포수에게 주문한다. 가끔 타자의 의표를 찔러 기막힌 결과로 이어지기는 하나, 대체적으로 최고의 시나리오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그런 면에서 이날 허프와 포수 유강남의 볼배합은 탄성을 자아내기 충분했다. 계속해서 타자 몸쪽으로 앉은 유강남이나, 또 고개 한 번 흔들지 않고 몸쪽으로 붙인 허프나, 대단히 인상적이었다.

볼카운트 1S에서 2구는 직구(144㎞) 3구도 직구(144㎞) 4구도 직구(144㎞)였다. 5구는 142㎞짜리 커터. 이택근은 속사포로 날아오는 공에 커트하기 바빴다. 그리고 6구째마저 홈플레이트 안쪽을 파고드는 145㎞ 직구. 이택근은 야심차게 스윙했으나 방망이 안쪽에 맞아 높이 떴다. LG 배터리가 의도한 외야로 향하지 않은 타구였다.

여기서 끝이 아니었다. 허프는 계속된 2사 3루에서 '깜짝 선발 출전한 김지수마저 헛스윙 삼진으로 돌려세웠다. 주먹을 불끈 쥐고 포효하는 세리머니를 했다. 당시 그는 볼카운트 3B까지 몰렸다. 이택근에게 잘 먹힌 직구가 말을 듣지 않았다. 그러나 4구 직구로 영점을 잡은 뒤 6,7구로 거푸 체인지업을 던져 헛방망이질을 유도했다. 130㎞ 체인지업이 기막히게 떨어졌다. 베테랑 이택근에게 철저한 배짱투를 했다면, 경험이 적은 김지수를 상대로는 '꾀는' 투구를 했다.

만약 허프가 줄무늬 유니폼을 입지 않았다면. LG 팬으로선 끔찍한 상상이다.

함태수 기자 hamts7@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페이스북트위터]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