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뚝심'의 두산, 삼성 독주의 대항마 될까

이원만 기자

기사입력 2013-11-03 12:10


삼성 라이온즈가 2013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1일 대구구장에서 열린 한국시리즈 7치전에서 삼성은 두산을 7-3으로 꺾고 프로야구 사상 최초로 한국시리즈 3연패를 달성했다. 준우승에 머문 두산선수들이 쓸쓸하게 그라운드를 빠져나오고 있다.
대구=정재근기자 cjg@sportschosun.com/2013.11.01/

이제 명실상부 2010년대 최강팀은 삼성이다. 역대 처음으로 정규시즌과 한국시리즈 통합 3연패(2011~2013)를 달성했으니 누구도 반론을 제기할 수 없을 것이다. 삼성의 왕조는 굳건하게 그 위용을 과시하고 있다. 이러한 팀을 만들기 위해 그 동안 코칭스태프와 선수들 그리고 구단 프런트가 흘렸을 땀과 눈물을 생각하면 아낌없는 찬사를 보낼 만 하다.

그러나 하나의 절대강자가 너무 오랜 시간 리그를 지배하는 것도 장기적으로는 바람직하다고 보기 어렵다. 자칫 리그 분위기가 정체될 수 있다. '붙어봐야 뻔하다', '올해도 우승팀은 바뀌지 않는다'는 식의 관념이 굳어지는 순간, 리그는 생명력을 잃을 수 있다.

건강한 대항마가 필요하다. 챔피언의 등골을 서늘하게 해줄 수 있고, 때로는 챔피언을 바닥에 메다꽂을 수 있는 그런 굳센 도전자가 나타나야 리그가 정체되지 않는다. 그리고 챔피언의 입장에서도 이런 팀이 한 두개 쯤 있어줘야 긴장감을 유지하면서 더 힘을 낼 수 있다.

그런 면에서 볼때 당분간 삼성의 가장 유력한 '카운트 파트너'는 두산이다. 선수 구성이나 팀 조직력, 경험 등 모든 면에서 삼성과 어깨를 견주기에 부족함이 없다.

사실 삼성이 최종 챔피언이긴 했어도, 2013 포스트시즌의 주역은 두산이었다. 역대 포스트시즌에서 가장 많은 무려 16경기를 치른 덕분에 야구팬의 뇌리에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 가을에 보여줬던 패기와 응집력, 그리고 투혼을 유지할 수만 있다면 두산은 향후 오랫동안 삼성과 라이벌구도를 만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번 포스트시즌을 통해 두산 야구는 한층 더 단단한 팀으로 진화했다. 위기를 어떻게 극복해내느냐를 배웠고, 모든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상대를 이기는 경험을 쌓았다. 무엇보다 이런 경험들이 젊은 선수들의 머리와 가슴속에 깊이 배어들었다는 점이다. 포수 최재훈과 내야수 허경민, 불펜 투수 윤명준 등이 대표적이다.

허경민과 최재훈 윤명준은 이번 포스트시즌에서 가치를 집중적으로 재조명받았다. 어떤 팀에서든 탐을 낼 만한 실력을 갖췄다는 것을 입증했다. 또 패배의 쓴맛을 맛본 만큼 새로운 발전을 위해 이를 악물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들이야 말로 두산이 2013 가을잔치에서 얻은 귀중한 보석들이다.

여기에 더해 시즌 중반 이후 이미 스타로 떠오른 좌완 투수 유희관이나 몇 년 전부터 팀의 간판 외야수가 된 정수빈도 역시 두산의 희망이자 뜨거운 에너지원이다. 이들만 건재하면 두산은 앞으로도 꾸준히 좋은 모습을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올해 스토브리그도 중요하다. 전력을 보존하는 동시에 이번 포스트시즌을 통해 부족한 요소로 나타난 것을 보강해야 한다. 왼손 필승조와 안정된 마무리 투수의 확보가 시급하다. 또 외국인 투수 니퍼트와 FA가 되는 최준석의 거취도 두산 프런트가 고민해야 할 부분이다. 이런 점들만 원활히 이뤄진다면 두산은 내년에도 삼성과 자웅을 거룰 수 있다. 올해의 패배를 약으로 삼아 더 단단해진 상태를 만들었다면, 내년에는 정말 해볼 만 하다.


이원만 기자 wman@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