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 선수들도 결국 집중력이 떨어지고 만 것일까.
하마터면 상대에 승리를 내줄 뻔한 경기였다. 선취점은 LG 몫이었다. LG는 2회 손주인의 1타점 선취 적시타로 앞서나갔다. 하지만 SK도 그대로 물러서지 않았다. 사실상 4강에서 멀어졌지만 성적에 관계 없이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던 이만수 감독의 말처럼 선수들은 포기하지 않았다. 4회 최 정의 동점 솔로홈런으로 추격에 성공했다.
LG는 5회초 박용택의 1타점 적시타로 다시 1점을 도망갔다. 그러자 SK 박재상이 6회 역전 투런홈런을 때려냈다. 분위기가 한순간 SK쪽으로 넘어갔다.
여기까지는 그래도 이해가 가능했던 장면들. 3-3 동점, 그리고 이어진 LG의 1사 만루 찬스에서 나온 좌익수 박재상의 수비는 사실상 실책에 가까웠다. LG 이병규(9번)가 밀어친 잘맞은 타구가 박재상쪽을 향했고, 박재상은 여유있게 타구를 쫓아갔다. 하지만 마지막 순간 포구에 실패하고 말았다. 한국시리즈를 수차례 경험한 베테랑 수비수로서는 있어서는 안될 플라이. 현장 기록원은 매우 긴 시간 고심 끝에 안타를 줬지만 박재상이기에 아쉬운 플레이였다. 그 정도 깊숙한 타구면 어차피 3루주자의 홈 쇄도를 막을 수 없었다. 2루 주자는 좌익수 방면 플라이기에 쉽사리 3루로 뛸 수도 없었다. 조금 더 여유를 가지고 타구를 처리했어도 됐다.
물론, 다음 타석에 등장한 이병규(7번)를 내야 플라이로 잡아내 똑같은 결과를 만들어낸 SK였다. 하지만 실책성 플라이 하나에 경기 분위기는 미세하게라도 바뀌기 마련이다. SK는 이렇게 결승점을 내준 뒤 만루 상황서 몸에 맞는 볼을 하나 더 내주며 자멸하고 말았다. 지난해까지의 SK 야구에서는 쉽게 찾아보기 힘든 장면들이었다. 벌써 3연패의 늪이다.
인천=김 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