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약물 시대'를 지나 사라진 대기록, 오타니가 23년 만에 부활시킨다...그러면 만장일치 MVP 더욱 선명

by

[스포츠조선 노재형 기자]메이저리그에서 그동안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통계 하나가 있다. 바로 루타(total bases)다.

루타는 타자가 타격을 통해 몇 개의 루를 진루했느냐를 총체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다. 단타보다 2루타, 2루타보다 3루타, 3루타보다 홈런이 가치있다. 다이아몬드를 한 바퀴(4루타) 돌아야 1득점이 되는 야구에서 루타를 많이 올린 타자가 주목받는 건 당연하다. 루타는 '단타×1+2루타×2+3루타×3+홈런×4'로 산출된다.

맹렬한 기세로 피니시 라인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LA 다저스 오타니 쇼헤이가 루타와 관련해 역사적인 기록에 도전하고 있다.

오타니는 23일(이하 한국시각) 다저스타디움에서 열린 콜로라도 로키스전에서 5타수 4안타 1타점 2득점 2도루의 맹활약을 펼치며 6대5 역전승의 주인공이 됐다. 오타니가 친 안타는 1회말 좌전안타, 3회 우전안타, 7회 우전안타, 그리고 9회에 터뜨린 동점 솔로홈런이다. 이날 총 7루타를 기록한 것이다.

이날 현재 루타 부문서 오타니는 391개로 양 리그를 합쳐 1위다. 2위 뉴욕 양키스 애런 저지(379루타)에 12개차로 앞서 있다. 오타니는 지금까지의 페이스를 적용하면 406루타를 기록할 수 있다. 400루타를 넘어서는 것이다.

메이저리그 역사상 한 시즌 400루타는 총 29번 탄생했다. 그런데 가장 최근 400루타 기록이 무려 23년 전인 2001년에 나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그해 새미 소사(425), 루이스 곤잘레스(419), 배리 본즈(411), 토드 헬튼(402) 등 4명의 선수가 동시에 400루타 고지를 넘었다. 이들은 모두 내셔널리그(NL) 선수들이다. 아메리칸리그(AL)에서는 1978년 짐 라이스(406)가 가장 최근 사례다.

시간을 거슬러 가면 1960년 이후 작년까지 64년 동안 한 시즌 400루타는 8번 밖에 안 나왔다. 라이브볼 시대가 개막된 1920년부터 1959년까지, 즉 이전 40년 동안 21번 기록됐는데, 마운드 높이와 공인구 반발계수 조정 등 시대적인 변화 때문이라고 보면 된다. 특히 1920~1930년대 20년 동안에는 19개의 400루타 기록이 작성됐다. 베이브 루스, 루 게릭, 지미 폭스, 척 클라인 등 강력한 거포들이 지배하던 시절이다. 이 기간 리그 전체 타율은 20년 연속 2할7푼대를 웃돌았다. 타자들의 전성 시대였다.

이후 리그 타율은 1940년 0.267로 떨어진 뒤 1993년까지 한 번도 2할7푼대로 회복된 적이 없다. 1960년 이후에는 투수들의 전성시대였다. 1962년부터 1992년까지 31년 동안 1987년(4.28)을 제외하고 매년 리그 평균자책점은 2~3점대였다.

이후 400루타가 집중적으로 쏟아진 시기는 2001년을 포함해 소위 스테로이드 시대(1994~2004년)였다. 이 기간 7개의 400루타가 나왔다. 그리고 2005년 경기력 향상 물질 금지 규정이 마련된 이후 400루타는 멸종됐다. 이 점에서 오타니의 400루타 달성은 역사적 의미를 더한다.

400루타를 달성하려면 단순히 장타력만 갖추면 되는 게 아니다. 홈런 못지 않게 2루타와 3루타도 많이 치고, 타율 자체가 높아야 한다.

MLB.com은 이날 '정규시즌 마지막 1주일 동안 지켜봐야 할 10가지'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9번째로 '오타니와 저지가 400루타에 도달할 수 있을까'를 언급했다. MLB.com은 '오타니의 400루타 달성은 따논 당상이다. 저지도 시즌 내내 400루타 페이스였지만, 최근 16경기 연속 홈런포가 침묵하면서 산술적으로 394루타에 그칠 것'이라며 '400루타가 1960년 이후 8번에 그친 건 높은 타율과 독보적인 장타력의 조합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장담할 수 없는 기록이다. 162경기 기간 동안 잠깐이라도 슬럼프에 빠지면 그 확률은 크게 떨어질 수 있다'고 했다.

50홈런-50도루를 돌파해 55-55를 향해 달리고 있는 오타니가 400루타 고지마저 정복한다면 MVP 투표단 중 그 누구도 그에게 1위표를 주지 않을 이유가 없다. 노재형 기자 jhn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