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말 현대·기아자동차, GM, 아우디 등 완성차 업체에서부터 SK텔레콤, 한화시스템, 영국 스카이스포츠와 같은 IT 회사에 이르기까지 전세계 UAM(Urban Air Mobility·도심항공모빌리티) 사업 관련 기업들이 대구에 총출동한다. 오는 27일부터 29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2022 대구국제미래모빌리티엑스포(2022 DIFA)가 개최되기 때문이다.
UAM이란 하늘을 이동 통로로 활용하는 미래의 도시 교통 체계를 일컫는다. 도심에서 수직으로 이착륙이 가능하고 다양한 육상 교통과도 연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오는 2025년 서비스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만큼 국내 기업들의 UAM 선점 경쟁 역시 한층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통신업계가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안전한 UAM 운항을 위해서는 끊김 없는 통신 서비스와 보안이 필수적이다. 첨단 이동통신 기술을 갖춘 통신기업들은 발빠르게 기체 제작 기업이나 공항 등 관련 업체들과 협업에 나서고 있다.
▶통신 3사에서부터 완성차 업체들까지…하늘길 선점 위해 직접 항공기 만들고 보안 강화
KT와 현대차그룹은 지난달 미래 모빌리티 사업 활성화를 위한 지분 교환을 단행했다. KT 자사주 9.6% 가운데 7500억원 규모인 7.7%를 현대차·현대모비스와 맞바꾸는 방식이다.
양 사는 이미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실증을 위한 컨소시엄을 함께 구성, 차세대 모빌리티 분야 초협력을 이어온 바 있다. KT 컨소시엄을 통해서는 UAM 상용화 기술들에 대한 안정성도 함께 검증하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물론 인천공항공사, 대한항공, 현대건설 등과도 함께 협업하고 있다. 2028년까지 도심항공모빌리티에서 한발 더 나아가 RAM(지역항공모빌리티)를 포괄하는 단어인 AAM(Advanced Air Mobility)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T는 지난 2월 미국 기체 제조사인 조비 에비에이션과 MOU를 체결, 기체 상용화 부문 강화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SKT가 도입 예정인 조비 에비에이션의 S4 항공기는 1000회 이상의 테스트를 통해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최고 시속은 320㎞이며 한 번 충전으로 4명을 태운 채 최대 240㎞까지 운항할 수 있는 배터리 효율을 자랑한다. SKT는 지난달 14일 한국공항공사·한화시스템은 'K-UAM 드림팀' 컨소시엄을 꾸리고, 2025년 제주 UAM 시범사업을 위해 제주의 현재 항공 시스템, 인프라 등을 수정·보완해 사업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5G 네트워크를 통한 UAM 교통관리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실시간으로 기체들을 모니터링하고 상공 교통흐름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UAM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대도시 UAM 실증도 준비하고 있다. 2026년 부산 지역 UAM 상용화를 위해 해군작전사령부·육군 제53사단을 비롯한 지역 기관과 손을 잡은 것. UAM 초기 수요 시장으로 점쳐지는 부산시는 물류와 관광을 전략 사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LG유플러스 컨소시엄은 부산시와 손잡고 부산 UAM 회랑 실환경 비행연구와 이·착륙 플랫폼 버티포트(vertiport) 권역별 입지 조건 및 운용조건 연구 등 UAM 상용화를 위한 기초연구에 착수했다. 이들은 오는 2026년까지 UAM 초기 상용화 1개 노선 이상을 목표로 다양한 실증을 추진하게 된다.
▶정부도 UAM 상용화 위해 규제 완화·전폭 지원 나서
UAM 상용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도 활발하다.
국토교통부는 UAM과 드론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달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발표했다. 2025년 UAM 서비스를 상용화하겠다는 내용이 골자다.
가장 먼저 공항과 도심부를 오가는 노선이 시범적으로 운영된다. 또 특정 구역 안에서 자유롭게 운행하는 택시와 같은 구역 운행을 허용할 예정이다. 추후에는 200㎞ 이상 운행할 수 있는 광역형 UAM도 추진한다.
이 같은 계획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하루 21만명이 UAM을 이용할 것이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관련 기술과 인프라 확보에도 속도를 낸다. 2024년까지 현행 여객 운송 제도를 자율주행에 부합하도록 재검토하고, 여객 운송 제도 개편방안을 선제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다.
공항과 도심지를 연결한 UAM 실증사업도 함께 시작된다. UAM의 핵심 인프라로 손꼽히는 버티포트(이착륙장) 초기 투자에도 아낌없는 지원을 해 나갈 예정이다.
안전 관리도 함께 강화한다. 저고도에서는 드론이, 중고도와 고고도에서는 UAM과 기존 항공기가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도록 3차원 공역체계를 구축한다.
드론 사업도 강화한다. 드론이 물류와 측량, 시설 점검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들을 차례로 개선한다. 드론법 개정을 통해 별다른 비행 승인 없이 취미·레저용 드론을 날릴 수 있는 드론 공원도 조성한다. 드론 비행 안전성 등에 대한 사전 규제를 면제·간소화하는 드론 특별자유화구역 역시 확대한다. 국토부는 표준 약관을 통해 드론 관련 보험료도 낮출 계획이다.
이처럼 UAM 사업이 향후 주요 미래 혁신사업으로 주목받으면서 관련주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UAM의 미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투자를 단행하려는 이들이 대거 늘었다"면서 "UAM 상용화를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지만, 아직 국내에 준비된 것이 많지 않기 때문에 사업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