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40대 이상의 여성에게서 많이 발병한다고 알려진 '자궁근종'.
하지만 최근에는 20~30대 여성들에게서도 종종 발병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자궁근종 환자는 2017년 36만5247명에서 2021년 58만1839명으로 약 59.3% 증가했다.
이중 20~30대 환자는 총 11만2956명으로 전체의 19.4%를 차지했다.
극심한 생리통, 과도한 생리량, 부정기적인 하혈 심지어 난임의 원인이라고도 알려진 자궁근종은 아랫배를 불룩하게 튀어나오게 해서 외형적 변화까지 초래한다.
자궁근종은 자궁을 이루고 있는 평활근에 생기는 종양이다. 자궁 내 평활근을 이루는 세포 중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크게 증식하는 것인데, 1㎝ 미만의 작은 것에서부터 20㎝ 이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가 존재한다. 드물긴 하지만, 크기가 작을 경우 자연적으로 소멸되기도 한다. 그러나 크기가 10㎝ 이상으로 크거나 여러 개의 근종이 포도송이처럼 무리 지어 있다면 다양한 증상을 초래할 수 있어 치료가 필요하다.
우선 자궁내막이 확장되면서 부정출혈이나 극심한 생리통을 일으킬 수 있다.
생리혈의 양이 많아지거나 덩어리진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근종이 바깥쪽 장막 아래에 위치한 경우에는 방광을 자극해 빈뇨, 요실금을 일으킬 수 있다. 자궁 안쪽 근육층에 발생하면 착상을 방해해 난임이나 조기유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이 없는 경우도 50%나 된다. 특히 정기적으로 산부인과 진료를 받지 않는 미혼 여성들은 종양이 점점 자라서 배가 나오는 것을 단순히 복부비만으로만 여기며 방치하다가 증상이 심각해지고 난 후에야 내원하곤 한다.
자궁근종 환자의 수가 급증하는 이유는 아직 확실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다만 결혼 시기가 늦어지면서 임신·출산 시기가 늦어지는 것을 한 가지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초경이 빨라진 이유도 있다. 강남베드로병원 산부인과 김원중 원장은 "자궁근종 발병은 체내 에스트로겐(여성호르몬)이 노출되는 기간과 연관이 깊다"며, "빠른 초경, 늦어지는 임신·출산 그리고 에스트로겐이 함유된 피임약의 장기 복용이나 완경기 여성의 에스트로겐제 복용 등으로 인해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기간이 길어져 자궁근종 발생 건수가 많아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자궁근종은 초음파 검사로 비교적 쉽게 진단된다. 특별한 증상이 없고 근종의 크기가 작다면 추적 관찰을 통해 변화를 확인하면서 약물 요법이나 주사 요법을 시행해 볼 수 있다.
근종의 크기가 크고 증상이 심각해 일상생활에 악영향을 미칠 정도라면 근종을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복강경 수술, 자궁경 수술 등의 근종 제거술과 아예 자궁 자체를 드러내는 자궁적출 수술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수술 과정에서 자궁내막을 손상시켜 가임력을 상실하는 문제를 가져오기도 한다.
이러한 수술적 치료들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주는 것이 하이푸 시술이다. 하이푸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로 자궁근종만을 태워 괴사시키는 치료 방법이다. 열에너지를 병변이 있는 지점에만 모아 종양만을 선택적으로 태우는 고강도 초음파 시술이기 때문에 주변 장기 및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절개를 하지 않는 비침습적 치료법으로 출혈이 적고 당일 퇴원이 가능할 정도로 회복 기간이 짧다. 방사선 대신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열을 사용하기 때문에 더욱 안전하다. 가임력을 보존하면서도 근종은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향후 임신계획이 있는 여성들에게 좋은 치료법이 될 수 있다.
김원중 원장은 "부정기적인 하혈이 잦아지거나 복부·허리·골반 통증 등이 심하다면 산부인과 검진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며 "만 20세 이상 가임기 여성이라면 정기적으로 자궁건강을 챙기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