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베이징 현장분석] "딱딱한 베이징 빙질 내 스타일", 결국 쇼트트랙 명운 세계최강 가속력 에이스 최민정에 달렸다.

by

[베이징(중국)=스포츠조선 류동혁 기자] 결국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한국 쇼트트랙의 명운은 최민정(24·성남시청)에 달렸다.

한국 여자 쇼트트랙은 위기이자 기회다. 수많은 논란 끝에 심석희의 베이징행이 좌절됐고, 김지유도 부상으로 빠졌다.

하지만, 에이스 최민정이 버티고 있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서 1500m 금메달, 3000m 계주 금메달, 2관왕을 차지했다.

지난해 코로나 여파로 국제대회에 제대로 모습을 드러내지 못했다. 그 여파로 월드컵 시리즈에서도 최강의 모습은 아니었다.

때문에 AP 통신에서는 여자 쇼트트랙 1000m 우승자로 네덜란드 수잔 슐팅을 지목했고, 1500m에서는 이유빈(연세대)을 꼽았다.

AP 통신의 근거는 최근 경기력과 국제무대 성적이다. 단, 내밀한 상황을 포착하진 못한다.

최민정은 이번 베이징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정말 열심히 훈련했다"고 했다. 또, 베이징 빙질에 대해 기본적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쇼트트랙 결전 장소 베이징 캐피탈 인도어 경기장의 빙질은 상당히 까다롭다.

남자 대표팀 에이스 황대헌은 "하루하루가 빙질의 질이 좀 바뀌고 있다. 훈련 첫 날은 스케이트 날이 붙는 느낌이었다면, 둘째날은 그립감이 없는 것 같았다"고 했다. 이유빈도 "빙질은 기본적으로 딱딱하다. 어떻게 적응하느냐가 관건이다. 최대한 스피드가 날 수 있는 빙질"이라고 했다. 즉, 두 선수의 말을 종합하면, 캐피털 인도어 경기장의 빙질은 까다롭고, 경기 당일 상태가 살짝 변할 수 있다. 단, 공통점은 스피드가 많이 날 수 있는 딱딱한 빙질의 특성을 지녔다는 점이다.

중국 쇼트트랙 대표팀은 공식 훈련 5차례 중 4차례나 불참했다. 중국 쇼트트랙 간판 런즈웨이는 1일 오후 유일한 공식훈련이 끝난 뒤 "새해여서 쉬었다"고 했지만, 연막을 가능성은 농후하다. 이미 빙질 적응이 끝난 상황에서 전술 전략이 중요한 쇼트트랙에서 전력을 노출하고 싶지 않은 움직임이다.

홈 어드밴티지의 특성을 살려 이미 빙질에 대한 적응이 된 상황이고, 더 이상 적응이 필요없다는 의미다. 결론은, 월드컵 1차 시리즈와 같은 수준의 딱딱한 빙질이 이번 베이징동계올림픽 기간 내내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이 부분이 중요하다. 최민정은 "월드컵 1차 시리즈에서 베이징 빙질은 상당히 딱딱한 느낌이었다. 내가 선호하는 빙질"이라고 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딱딱한 빙질에서는 좀 더 안정적으로 가속을 붙일 수 있다. 딱딱한 빙질을 선호한다"고 했다.

최민정의 최대 강점은 2가지다. 체력과 가속도다. 특히 아웃 코스에서 절묘한 테크닉을 발휘, 그대로 상대를 따돌리는 가속력은 세계 최고다. 스타트의 약점이 있지만, 지치지 않는 체력과 가속도로 세계 정상에 군림했다.

이유빈은 혼성계주의 관건에 대해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와 터치할 때 가속도를 온전히 버틸 수 있느냐가 문제"라고 했다. 그만큼 캐피털 인도어 경기장의 빙질은 딱딱함 속에서 가속도를 붙이는데 용이하다. 단, 그 가속도를 기술과 경험으로 어떻게 커버하느냐가 문제다. 이 점에서 최민정의 가속도는 베이징에서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다.

최민정은 혼성계주, 여자 1000m, 1500m, 여자 3000m 계주에 출전한다. 모두 한국이 금메달을 딸 수 있는 종목이고, 최민정은 전력의 핵심이다. 혼성계주는 2000m의 짧은 거리다. 이유빈이 말했듯 "선수들이 각각 두 차례 최대한 스피드를 높여야 하는 게 관건"이라고 했다. 즉, 베이징 캐피털 인도어 빙질의 딱딱함을 살린 최민정의 아웃코스 추월은 딱 맞아 떨어지는 시나리오다. 여자 1000m, 1500m, 여자 계주 3000m도 마찬가지의 공식이 적용된다.

한국 쇼트트랙. 최민정이 모든 키를 쥐고 있다. 베이징의 '딱딱한 빙질'이라는 히든 카드를 숨긴 채. 베이징(중국)=류동혁 기자 sfryu@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