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제조업 국내 취업자 수가 최근 5년간 큰 폭으로 줄어들고, 해외 고용은 급증하면서 일자리 해외 유출이 심화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제조업의 국내 고용과 해외법인 현지 고용 추이를 분석한 결과 국내 고용은 2015년보다 2019년에 약 18만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국내 대기업인 삼성전자와 현대차의 2020년 국내 직원 수를 합친 수와 맞먹는 수준인데, 일자리 해외 유출이 그만큼 심화된 것이라고 전경련은 주장했다.
전경련은 한국의 제조업 취업자 수가 감소한 데에는 선박 수주 급감에 따른 조선업종 구조조정과 자동차 업종의 구조조정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전했다.
고용노동부의 고용보험 가입자 통계에 따르면 2020년 1월 조선업종이 포함된 기타운송장비 취업자는 2016년 1월보다 7만4000명, 자동차 업종은 1만4000명 각각 줄었다.
국내 제조업 취업자 수가 감소하는 사이 우리나라 기업 해외투자법인의 현지 고용 인원은 29.4%나 급증했다. 숫자로는 42만6000명에 달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세계 제조업 생산에서 한국의 비중 역시 줄어들었다.
UN 산업개발기구(UNIDO)의 세계 제조업 생산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세계 제조업 생산 비중은 2015년 3.2%에서 2019년 3.0%로 0.2%포인트(p) 하락했다.
전경련은 "한국의 비중이 하락한 이유는 2019년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수출 감소, 기업의 신규 설비투자 위축, 공장 해외 이전, 자동차·조선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해석된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 제조업 투자 여건이 악화하면서 우리 제조업의 국내 투자 대비 해외투자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국내 제조업 고용은 줄어드는 대신 해외고용이 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정부가 핵심기술 개발 및 제조업 국내 투자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