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여름철 벌 쏘임 사고 주의…'아나필락시스 반응'시 쇼크사 위험

by

7월부터 소방당국은 벌 쏘임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벌 쏘임 사고 주의 예보제'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기온이 상승하면서 벌들의 활동이 왕성해지고 사람들의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7월 말부터 9월 중순까지 벌 쏘임 사고가 급증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소방청에 따르면 2017~2019년 벌 쏘임 사고로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 총 1만6751명 중 7~9월 발생 환자가 1만2483명으로 전체의 76%를 차지했다.

▶벌에 쏘였을 때 사람마다 다른 증상 보여…'아나필락시스 반응' 발생 시 쇼크사 위험도

벌에 쏘이면 해당 부위만 붓고 아픈 경우도 있지만 심한 경우에는 몸 전체에 두드러기가 일어나고, 혈관부종이 생기거나 얼굴이 붉어진다. 사람에 따라 위경련이나 자궁수축, 설사가 일어날 수도 있고 만약 인두·후두 혹은 기도 윗쪽이 심하게 부으면서 쇼크가 일어나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이처럼 벌에 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의 편차가 큰 이유는 무엇일까?

흔히 벌독이 지닌 독성의 강도에 따라 증상이 달라질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인체의 면역 체계와 알레르기 반응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 몸에는 외부에서 침입한 항원을 인식하는 '비만세포'가 있는데, 비만세포가 항원을 인식하면 백혈구 등 항원과 싸울 수 있는 세포들을 불러들이는 '히스타민(Histamine)'을 분비한다. 이 히스타민은 혈관을 확장 시켜 혈류량을 늘리고 상처 부위에 부종과 통증,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만약 벌독에 민감한 사람 즉, 벌독 알레르기 환자가 벌에 쏘일 경우 과다한 히스타민 분비로 혈액이 지나치게 빠져나와 혈압이 떨어지고 몸이 붓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 부작용이 심해지고 적절한 응급조치가 없을 경우 쇼크사까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일반적인 반응보다 과도한 알레르기 반응을 '아나필락시스 반응(Anaphylaxis reactions)'이라고 한다.

▶벌독 알레르기, 검사 통한 정확한 진단과 벌 쏘임 사고 예방 중요해

벌독 알레르기는 대표적인 곤충 알레르기로, 벌에 쏘였을 때 나타나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컫는다. 벌의 종류는 전세계적으로 12만 종에 달하지만 이 가운데 꿀벌과와 말벌과에 속하는 벌들이 주로 알레르기를 일으킨다.

벌독 알레르기 여부를 확인하려면 가까운 내과나 가정의학과를 방문해 관련 검사를 받으면 되는데, 대표적인 검사로 '이뮤노캡 벌독 알레르기 검사'가 있다. 벌독 알레르기 환자들은 꿀벌, 말벌, 땅벌 등 특정 종류의 벌독에 알레르기 증상을 보이는데 '벌독 항원 검사'를 통해 벌독 알레르기 유무는 물론, 어떤 종류의 벌독에 알레르기가 있는지도 확인 가능하다.

다만 벌독 알레르기 환자의 50%는 꿀벌독과 말벌독에 '동시 양성(Double positivity)'을 보이는데, 이는 어떤 항원에 의해 만들어진 항체가 그 항원과 성질이 비슷한 물질에 대해 반응하는 '교차 반응(Cross-reactivity)'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추가적인 '벌독 성분항원 검사'를 통해 동시 양성과 교차 반응을 구분하여 정확한 원인 벌독을 확인할 수 있다.

벌독 알레르기 환자의 경우 벌에 쏘이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벌이 많은 지역의 방문을 가급적 삼가고, 등산이나 벌초 등을 갈 때는 더욱 주의해야 한다. 벌을 자극하는 향수, 화장품, 스프레이 사용을 자제하고, 벌이 있는 곳에서 뛰거나 빨리 움직여서 벌을 자극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집 주위에 벌집이 있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제거할 것을 권장한다.

벌독 알레르기 응급치료법은 심장박동과 호흡 수를 늘리는 에피네프린을 허벅지에 주사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행법상 구급차에서 응급구조사가 에피네프린을 투여하는 건 불법이기 때문에, 벌이 걱정되는 장소를 가야할 경우 사전에 병원에서 에피네프린 주사나 항히스타민제 등 비상 응급약을 미리 처방받아 소지하는 것이 안전하다.

GC녹십자의료재단 권애린 전문의는 "벌에 쏘인 후에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했던 환자들은 다시 한 번 벌에 쏘였을 때 아나필락시스를 경험하게 될 확률이 75%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며 "벌독 알레르기가 의심된다면 의료기관 검사를 통해 정확히 진단한 뒤, 주의를 기울여 벌 쏘임 사고를 예방하고 필요한 경우 면역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또한 "특히 소방관이나 양봉업자 등 벌에 자주 노출되는 환경에 근무하시는 분들은 사전에 벌독 알레르기 검사를 받아볼 것을 권장한다"고 덧붙였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