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반적으로 혼인이 감소하는 추세인데도 최근 4~년새 국내 남성의 국제결혼은 증가세를 나타냈다.
26일 이태열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원이 통계청 인구동향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한 '최근 국제 혼인 증가의 특징'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내국인끼리 결혼은 21만5516건으로 지난 2015년보다 무려 24%나 감소했다.
그러나 이 기간동안 한국 남녀의 외국인과의 혼인은 2만1274건에서 2만3643건으로 증가했다. 이는 한국 남자의 국제결혼이 1만4677건에서 1만7687건으로 4년 연속 증가한 결과로, 여성의 국제결혼은 6597건에서 5956건으로 떨어졌다.
국내 국제결혼은 1990년대 중반부터 급증해 2005년 남녀가 각각 3만719건과 1만1637건을 기록한 후 10년 간 내리막을 걸었다. 지난 2015년부터는 내국인 남자의 국제결혼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으나 여자의 국제결혼은 국내결혼과 마찬가지로 계속 감소했다.
남자의 전체 혼인 중 국제결혼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4.95%에서 2019년 7.58%로 늘어났다. 남자의 국제결혼 비중 증가분(2.63%포인트)의 대부분은 베트남(1.308%포인트)과 태국(0.696포인트) 국적 여자와 결혼 증가에서 기인했다.
이태열 연구위원은 2010년대 중반 이후 남자의 국제결혼 증가 배경으로 '결혼 기피 현상 속의 성비 불균형'을 꼽았다. 결혼을 기피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 남녀 성비(여자 100명당 남자의 수) 불균형이 매우 심한 세대가 혼인 적령기에 접어들며 남자의 국제결혼 비중이 높아졌다는 설명이다.
이 연구위원은 "결혼 적령기 남자의 성비 불균형은 앞으로 심화될 가능성이 크고, 이에 따라 남성의 국제결혼 의존 현상이 지속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또한 "혼인 기피와 남자의 국제결혼 증가에 따라 늘어나게 될 1인 노인가구와 다문화 가정의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