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년 후에는 역(逆) 이촌향도가 심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이촌향도는 산업화 시대에 일자리를 찾아 시골에서 도시로 이주하는 것으로,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나타난 현상이다. 그러나 장래에는 집값 상승과 귀농 영향으로 오히려 그 반대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8일 통계청의 장래인구 특별추계 시도별 순이동 수(중위추계 기준)를 분석한 결과, 2019~2047년 서울·부산·대구·광주·대전·울산 등 주요 광역시에서는 일제히 인구가 순유출하고 도(道) 지역에서는 순유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47년까지 서울을 비롯한 광역시 6곳과 특별자치시 1곳의 순유출 규모는 총 139만4000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중 서울은 올해 6만6000명 등 매년 순유출이 계속되며, 2047년까지 모두 106만3000명이 순유출될 것으로 예상됐다. 부산 순유출 추계치는 21만3000명, 대구 18만3000명, 광주 13만3000명, 대전 12만8000명, 울산 12만1000명 등이다. 이같은 이탈은 비싼 집값으로 대도시보다는 출퇴근이 가능한 근교로 이동하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반면 대도시인 인천은 이 기간 21만7000명이 유입하는 것으로 추산됐는데, 이는 광역시의 특성보다 서울 출퇴근이 가능한 거리에서 상대적으로 집값이 저렴하다는 수도권의 특성이 더 작용하기 때문으로 해석됐다. 경기도 서울 출퇴근이 가능하고 집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해 2047년까지 113만9000명이 순유입할 것으로 예상됐다.
다른 모든 도 지역에서도 2047년까지 인구가 순유입될 것으로 예측됐다. 충남 인구 순유입 수는 36만6000명이고, 강원(23만6000명), 경북(20만6000명), 전남(20만3000명), 충북(20만2000명), 제주(15만7000명), 경남(10만9000명), 전북(8만2000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이는 은퇴한 노인 인구의 일부가 직장 때문에 머물렀던 대도시를 떠나 귀농·귀촌을 위해 이동하는 영향으로 분석됐다. 조완제 기자 jwj@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