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이용규 사태와 FA옵션, 그리고 현장의 딜레마

by

이용규 파문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생각보다 큰 일파만파 파문 속에 본인은 입을 닫고 있다. 아직 설명은 없다. 추정이 있을 뿐이다.

포지션(중견수→좌익수)과 타순(테이블세터→9번) 이동 과정에서의 불안감, 그리고 자존심, 이런 저런 해석이 난무한다. 이용규가 침묵하고 있는 가운데 한화 구단 관계자는 "(다른 이유를) 도무지 모르겠다"며 답답해 하고 있다.

원인 중 하나로 FA옵션도 의심 받고 있다. FA계약에 난항을 겪던 이용규는 캠프 직전인 지난 1월30일 한화와 극적으로 도장을 찍었다. 2+1년에 최대 26억원(계약금 2억원, 연봉 4억원, 옵션 연간 4억원). 계약금을 제외하면 옵션이 절반이다. '팀 내 입지 변화로 옵션을 채우기 힘들어지자 트레이드를 요구한게 아니냐'는 억측이 흘러나온 배경이다.

사실 여부를 떠나 올 겨울 도드라졌던 FA옵션은 양면성을 품고 있다. 선순환 과정 속에서는 윈-윈이 될 수 있다. 선수에게는 강력한 동기부여가, 구단에는 안전장치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반대로 악순환에 빠질 경우 자칫 팀워크를 심각하게 해칠 수 있는 독 주머니가 될 수 있다. 현장 지휘자인 감독에게 큰 부담을 줄 수 있다. 선수기용에 있어 선택의 폭을 제한한다. 어떻게든 출전 기회를 늘려 옵션을 꽉꽉 채워야 하는 선수와 최상의 조합으로 시즌을 치러야 하는 감독 사이에 갈등 요소가 될 수 있다. 시한폭탄이다. 가뜩이나 FA 선수 대부분이 팀 내 중·고참 이상이라 팀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밖에 없다.

야구는 팀 스포츠다. 게다가 프로다. 선수 기용은 제로섬 게임이다. 누구를 쓰면, 그 자리에 다른 누구를 포기해야 한다. 딱하지만 개인 사정을 일일이 봐줄 수는 없다. 옵션이 걸려 있는 선수들 입장에서 선뜻 큰 돈을 포기하기란 쉽지 않은 노릇이다. 벤치가 고민하지 않을 만큼 야구를 압도적으로 잘 하면 되지 않느냐고? 현실은 판단하기 애매한 경우가 훨씬 많다. 어떤 선택을 하든 '뒷담화'가 나오기 딱 좋은 구조다.

사상 유래 없는 FA한파. 꽁꽁 얼어붙은 동토에 싹을 틔운 해결책은 '옵션'이었다. 계약이 늦어졌던 준척급 FA 대부분이 울며 겨자먹기로 상당한 포션의 옵션 계약에 도장을 찍고 소속팀에 잔류했다. 옵션이 연봉과 비슷하거나 많은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계약이 속출했다. 원 소속팀 롯데를 떠난 노경은의 시각 차도 바로 이 옵션에 있었다.

교착 상태에 빠진 FA계약의 '만능키'로 작동했던 옵션 계약. 긍정적 상황일 때 장점이 많다. 하지만 부정적 상황에 빠지면 부담은 고스란히 현장의 몫으로 돌아온다. 기형적 FA옵션 계약이 시한폭탄을 품고 있는 셈.

결국 방법은 하나다. FA 등급제 등 조속한 제도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 방치하면 준척급 FA 옵션계약은 매년 반복될 수 밖에 없다. 선수와 벤치의 갈등을 넘어 '노노(勞勞) 갈등' 으로 확산될 위험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현석 기자 hschung@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