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블폰이 최근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화두로 떠올랐지만 올해 시장점유율은 0.1%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삼성전자와 화웨이 등이 제품 공개를 통해 공격경영네 나서고 있지만 가격과 디자인 등의 제품 조정 단계에 있어 소비자 구매확대가 본격화 되지는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11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 산하 위츠뷰(WitsView)는 "폴더블폰이 여전히 시장 반응 관찰, 제품 디자인 조정 단계에 있다"며 폴드블폰의 올해 시장점유율이 0.1%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폴더블폰의 점유율 상승은 패널 공급업체들이 늘어나 패널 비용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는 2021년 1% 위로 상승하고 2022년 3.4%를 넘어설 수 있다고 분석해다.
보이스 팬 위츠뷰 리서치 이사는 삼성전자와 화웨이 폴더블폰 간 가장 중요한 디자인 차이는 안으로 접히는 '인폴딩'(inward-folding)과 바깥으로 접히는 '아웃폴딩'(outward-folding) 선택에 있다고 밝혔다.
위츠뷰는 "인폴딩과 아웃폴딩 디자인이 각각 장점이 있지만 이상과는 거리가 멀다"며 화웨이의 아웃폴딩 디자인이 추가적인 화면 필요성이 적고 폰과 태블릿 모드간 상호 호환성이 있기 때문에 더 직관적으로 본다고 주장했다. 다만 아웃폴딩 폰의 주요 문제는 보호 커버에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베이스 소재라며 내구성과 스크래치에 대한 저항성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인폴딩은 접히는 지점의 굽힘 반경이 적은 점 때문에 기술적으로 훨씬 까다롭고 공정 조정과 재료 선택 때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삼성이 이 분야에 대한 특허를 상당수 출원한 점은 인폴딩 디자인에서 기술적 우위를 어느정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위츠뷰가 설명했다.
공급 측면과 관련해서는 삼성전자가 자체 패널에 의존하고 있어 공급 부족을 걱정하지 않지만 중국 패널 제조사에 의존하는 화웨이는 규모가 현재 기술과 제품 생산율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 패널 제조업체들은 여전히 플렉서블 아몰레드(AMOLED·능동형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 개발의 초기 단계에 있고 생산 능력이 세계적으로 약 27%에 불과하다. 단기적으로 한국 제조업체들이 확고한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위츠뷰는 패널 공급량이 증가하고 경쟁이 치열해지면 폴더플폰의 가격이 하락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