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자카르타 비하인드]'선동열 호'가 받는 비난, KBO의 책임도 크다

by

국제 대회에 '태극마크'를 달고 출전하는 한국 야구대표팀은 오래전부터 이원화 돼 운영되고 있다.

원칙적으로는 아마추어 야구를 총괄적으로 관리 및 감독해야 하는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KBSA)가 국제 대회의 운영주체인 아시아야구연맹(BFA),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의 회원국 자격 대표 자격으로 대표팀을 이끌어야 한다. 즉 아시안게임이나 올림픽 프리미어12와 같은 BFA 또는 WBSC 주관의 대회가 열릴 때 거기에 팀을 구성하고 파견하는 주체가 KBSA라는 뜻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이 업무를 KBO와 나눴다. 이들 대회에 거의 대부분 KBO리그 선수가 출전하기 때문이다. 말로는 "효율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 나눴다"지만 사실상 KBSA가 자신들의 권한과 책무를 대충 넘긴 셈이다. 국제대회에 계속 아마추어가 뽑히지 않아도 지금의 KBSA는 할 말이 없다. 이번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때도 KBO 관계자들만 현장에 나타나 대표팀을 지원했다. 더구나 정운찬 KBO 총재는 시상식 때 선수들에게 메달을 걸어주기도 했다. 김응용 KBSA 회장은 코빼기도 비치지 않았다.

하지만 '일단' 여기서 지적하고자 하는 바는 김 회장이나 KBSA에 대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KBO, 특히 KBO 수뇌부의 역할에 대해 의문이 든다. 물론 현장에 일찍부터 파견돼 대표 선수들이 불편함 없이 대회를 치르게 도운 실무 파트 직원들의 노고는 칭찬받아야 한다. 직접 목격한 KBO 소속 현장직원 들의 기여도와 업무 강도는 혀를 내두를 정도였다. 이들 역시 아시안게임 3연패에 지분이 있다.

그러나 이런 실무진 외에 KBO 수뇌부는 과연 뭘 했나 묻고 싶다. 특히나 이번 야구대표팀은 애초 지난 6월 최종엔트리 발표 때부터 온 국민의 비난과 조롱을 받아왔다. 또 실제 아시안게임 때도 실망스러운 경기력과 선 감독의 이해하기 어려운 선수 기용 방법 때문에 여론이 계속 악화돼 갔다.

그럼에도 현장에 일찍 도착해 있던 장윤호 KBO 사무총장을 비롯한 KBO 수뇌부는 이런 상황을 개선시키기 위해 그 어떤 노력도 기울이지 않았다. 선 감독과의 밀접한 커뮤니케이션도 없었고, 여론 개선을 위한 움직임도 전혀 포착되지 않았다. 장 총장이 자카르타에서 했던 대부분의 일은 주로 KBO총재, 혹은 KBO 이사회 멤버인 프로야구 10개 구단 사장단 의전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꼭 이번 대회 현장을 따질 것만도 아니다. 애초부터 이번 대회가 열리기 훨씬 이전부터 KBO는 '선동열 호'에 대한 컨트롤을 하지 못한 채 그저 지원하기에만 급급했다. '전임감독제'를 전격 시행하고 초대 선동열 감독을 임명한 뒤로는 모든 권한을 선 감독의 손에 쥐어준 채 떨어져 있었다. 논란이 가득한 선수 선발 이후에도 아무런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 아니, '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충분히 상황을 개선 시킬 수 있는 기회와 역량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KBO는 사실상 현재 야구대표팀을 방치한 것이나 다름없다. 마치 '금메달만 따면 모든 게 괜찮아진다'는 선동열 감독과 비슷한 발상을 하고 있는 것 같다. 금메달을 만들기 위한 노력은 부단히 하면서, 국민들의 공감대를 얻는 일에는 무신경했다. 파행적인 대표팀 운영과 그에 대한 국민들의 비판에는 KBO도 큰 책임이 있다.

자카르타(인도네시아)=이원만 기자 wma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