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상반기 글로벌 매출 중 중국 시장 차지 비중이 30%를 넘어서며 미주 시장을 추월했다. 업계 안팎에선 최근 중국 정부가 정책적인 뒷받침을 통해 반도체·스마트폰 굴기를 내세우고 있어 삼성전자의 지나친 중국 의존도는 향후 매출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삼성전자의 매출액(별도 재무제표 기준)은 총 83조9217억원이다. 이중 중국 시장 매출은 27조4102억원으로 전체 기준 32.7%에 달한다.
삼성전자의 중국 시장 매출 비중은 2013년 18.5%였으나 2014년 20.6%, 2015년 23.4%, 2016년 23.9%, 2017년 28.3% 등을 기록하며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삼성전자의 주력 시장이었던 미주 시장의 매출 비중은 2016년 31.8%에서 2017년 30.2%로 줄었고, 올해 상반기에는 26%까지 떨어졌다.
중국 시장이 삼성전자의 주요 매출처로 변하고 있는 것은 최근 중국 IT업체들이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 등의 주요 고객사가 된 데 따른 것이다. 여기에 미국 트럼프 정부를 필두로 한 전세계적인 보호무역 기조 강화로 인해 과거 스마트폰, TV, 가전 등 완제품을 많이 팔았던 미국과 유럽 시장이 상대적으로 축소된 것도 또 다른 요인으로 꼽힌다.
일례로 삼성전자가 최근 공시한 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5대 매출처에 중국 스마트폰 생산업체인 중국 화웨이가 처음으로 포함됐다. 화웨이 외에는 미국 애플과 버라이즌, 독일 도이치텔레콤, 홍콩 테크트로닉스 등이 이름을 올렸다. 올해 상반기 삼성전자 매출 가운데 이들 5개 업체가 차지한 비중은 11%에 달했다.
2016년과 지난해 5대 고객사가 미국 애플 외에 미국 베스트바이·스프린트·버라이즌과 독일 도이치텔레콤 등 이동통신사 및 유통업체였으나 올해 들어서 중국계 IT 업체가 2개나 등장한 것이다.
화웨이는 올해 2분기에 미국 애플을 제치고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2위를 차지하며 선두 삼성전자를 바짝 추격했다. 삼성전자로서는 화웨이가 주요 경쟁업체인 동시에 주요 고객사가 된 셈이다.
그러나 중국 업체가 삼성전자의 주요 고객사가 됐다는 것은 잠재적인 위협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이 '반도체 굴기'를 외치며 반도체 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에 나서고 반독점 조사로 압박 수위를 높이는 가운데 삼성전자의 중국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경우에 따라 매출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완제품과 부품을 동시에 생산하는 IT기업으로 중국 시장 확대는 기술력을 인정받았다고 해석이 가능하다"며 "다만 변수가 많은 중국시장 특성상 신성장 동력 확보와 기술 격차 유지가 반도체 세계 1위 기업을 수성하는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