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산업의 재해율이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건설업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산업재해 현황을 집계한 결과, 재해율(근로자 100명당 발생하는 재해자 수의 비율)은 0.49%로 전년(0.50%)에 비해 0.01%포인트 감소했다.
사망만인율(근로자 1만명당 발생하는 사망자 수의 비율)도 0.96%로 전년(1.01%)보다 0.05%포인트 줄었다.
이는 산업재해 통계 산출 이래 처음으로 재해율은 0.4%대, 사망만인율은 0.9%대에 각각 진입한 것이다.
지난해 산재 발생현황을 보면, 제조업(0.65%→0.62%), 서비스업(0.34%→0.32%) 등 대부분 업종에서 감소했다.
그러나 건설업(0.75%→0.84%)은 건설물량 급증 등으로 증가했다.
실제 통계청 2016년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건설수주액은 전년보다 7.6% 증가한 145조 2000억원, 건설기성은 17.5% 늘어난 107조 7000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건설기성은 건설업체가 해당 연도에 실제로 시공한 실적 금액을 의미한다.
전체 재해자의 81.8%(74,194명)는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발생해 소규모 사업장일수록 재해에 취약하다는 점을 보였다.
2015년 50명 미만 사업장 재해비율은 81.6%(7만3549명)였다.
지난해 사망재해도 대부분 업종에서 감소했지만, 건설업(1.47%→1.76%)에서 증가했다.
특히, 건설업은 떨어짐, 부딪힘 등 사고성 사망재해(1.30%→1.58%)가 0.28% 포인트나 늘었다.
고용부는 "산업재해 감소를 위해 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기술지도, 재정지원 등 재해예방 역량을 집중하는 한편 현장 감독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