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 고졸 근로자와 대졸 근로자의 임금격차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평균에도 미치지 못했다.
29일 고용노동부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비교 통계에 따르면 비교 대상으로 삼은 OECD 31개국의 대졸 이상 근로자 대비 고졸 근로자의 임금수준 차이는 평균 '-56'으로 나타났다.
고졸 근로자의 평균 임금을 100으로 봤을 때, 대졸 이상 근로자의 평균 임금이 156으로 고졸보다 대졸의 임금이 56% 많다는 것이다. 국내의 임금수준 차이수치는 '-37'로 대졸 이상 근로자의 평균 임금이 고졸 근로자보다 37% 많았다.
OECD 평균에도 못미치는 수준으로 OECD 31개국 중 대졸과 고졸 근로자의 임금 차이가 큰 국가 순으로 23위에 그쳤다.
국내 대졸과 고졸 근로자의 임금 격차가 크지 않은 것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연공서열형 임금체계를 온전하게 누리는 중장년 근로자 중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생산현장으로 뛰어든 생산직 근로자가 많다는 게 대표적이다. 국내의 1년 미만 근속자 대비 30년 이상 근속자의 임금수준은 3.3배에 달해 연공서열이 OECD 최고 수준이지만, 대졸 사무직 근로자는 조기 명예퇴직 등으로 이를 제대로 누리기 힘들다. 반면 고졸 생산직 근로자들은 숙련기술에 대한 수요와 강력한 노조의 영향 등으로 장기근속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은 게 현실이다.
젊은 근로자의 경우 '대졸 프리미엄'이 거의 없다는 점도 임금 격차를 줄이는 요소다. 대졸자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중장년 근로자와 달리 20∼30대 청년층 근로자의 경우 대졸 이상 학력이 과반수를 차지하는 실정이다. 2014년 한국 고교생의 대학 진학률은 70.9%로 OECD 최고 수준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구직시장에서 대졸 프리미엄을 내세우기 힘들다.
업계 한 관계자는 "매년 치열한 입시경쟁을 벌이고 있지만 정작 국내의 대졸 근로자와 고졸 근로자의 임극격차가 크지 않은 게 현실"이라며 "선진국처럼 현장 중심의 기술교육 강화 등을 통한 새로운 교육 모델을 확대하는 등 '실속형' 교육체계 등장도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