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항공우주국(NASA) 탐사선 '뉴호라이즌스'가 지난해 7월 명왕성 근접 비행 당시 얻은 데이터 분석 결과가 나왔다.
18일 NASA와 미국 콜로라도대, UC산타크루즈 등 공동 연구팀은 뉴호라이즌스가 보내온 자료를 바탕으로 명왕성 지형과 대기 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뉴호라이즌스가 명왕성을 근접 비행할 당시 찍은 사진 속에는 명왕성 표면에 마치 '빙하'가 지나간 것 같은 흔적이 남아 있다.
연구팀은 이 지형이 명왕성 표면에 있는 질소, 이산화탄소 때문에 생긴 것이라고 추정했다.
태양 고도가 높은 곳이나 근일점(행성의 공전 궤도상 태양과 가장 가까운 지점) 접근으로 명왕성 온도가 더 올라가면 표면에 있는 메탄까지 유동성을 가지게 돼 더 복잡한 지형을 만들 수 있다.
명왕성의 대기 분석에서도 질소와 메탄이 대기의 주성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명왕성 표면의 질소와 메탄이 기체가 된 것이다.
하지만 태양에서 매우 먼 거리에 있는 명왕성은 태양빛이 약하기 때문에 상층 대기의 온도가 낮아 기체가 됐던 질소와 메탄도 다시 응결해 지표로 떨어지고 만다.
연구팀은 명왕성의 궤도는 심한 타원을 그리는 만큼 근일점이나 원일점(행성의 공전 궤도상 태양과 가장 먼 지점)을 지나면서 온도가 달라질 때 어떤 변화를 겪으며 지금의 대기가 형성됐는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팀의 이번 발표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렸다. <스포츠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