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롱 환자'라고 부르는 허위·과다 입원을 통한 보험사기가 2년새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감독원은 23일 지난해 상반기 허위·과다입원 보험사기 범죄현황을 분석한 결과 적발된 보험사기 금액이 320억원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같은 보험사기 금액은 2년 전인 2012년 상반기의 153억원보다 크게 증가한 것이다.
전체 보험사기 범죄적발 금액 중 허위·과다 입원 사기가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6.8%에서 11.2%로 증가했다. 업계에선 자동차보험 관련 사기 단속이 강화된 이후 풍선효과로 허위·과다 입원하는 보험사기 사례가 늘어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금감원이 주요 혐의자 111명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생명·장기손해보험의 입원보험금을 노리고 경미한 질병으로 장기입원 하는 유형이 가장 많았다. 연령대는 50대가 48.6%, 직업은 주부가 51.4%로 입원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적은 혐의자가 다수였다. 또 배우자나 자녀 등 가족이 공모한 사례가 42.3% 비중을 차지했다.
이들은 고액 입원 일당 보장상품에 단기간 내 집중가입하고 장기 입원해 평균 2억8200만원(연평균 4천여만원)의 보험금을 수령했다. 장기입원 직전 6개월 내에 평균 6.9건의 보험을 집중 가입했고 하루평균 31만원의 입원보험금을 수령할 수 있도록 설계한 후 7년간 평균 1009일(연평균 137일)을 입원했다.
이들의 보장성 보험 평균 가입 건수는 10.4건, 매월 보험료는 62만3000원으로 국민 평균 보장성보험 월납 보험료의 8배 수준이었다. 대부분 통원치료가 가능한 무릎관절염 등 경미한 질병·상해로 주기적으로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며 다수 병원을 전전하는 '메뚜기 환자' 행태를 보였다.
일례로 A가족 4명은 총 103개의 보험에 가입해 질병 입원시 최대 57만원의 보험금(상해시 최대 51만원)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한후 2010년 5월부터 4년여간 총 1542일간 입원해 16개 보험회사로부터 7억4000만원의 보험금을 수령하다 적발됐다. 이들은 한방병원(한의원) 등 8개 병원에서 100여일간 동반으로 입원하기도 했다. 다른 일가족 4명은 46개 보장성보험에 가입하고 경미한 머리손상, 무릎관절증 등으로 2005년 이후 9년여간 총 2450일 동안 입원해 9억1000만원의 보험금을 수령했다.
금감원은 "앞을 허위·과다입원 사기 혐의자에 대한 기획조사를 강화하고 보험사기 조사 핵심 인프라인 보험사기인지시스템에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기능을 도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송진현 기자 jhsong@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