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이 뇌졸중의 주요 위험인자 중 하나인 것으로 밝혀졌다.
고려대 안산병원 수면장애센터 신철 교수 연구팀이 50-79세의 남녀 746명을 대상으로 수면다원검사와 뇌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실시한 결과, 중강도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경우 뇌졸중의 발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신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65세 이상에서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경우, 일반인에 비하여 무증상 뇌졸중 위험도가 2.44배, 열공성 뇌경색 위험도가 3.48배 높았다. 특히 습관적 행동조절 및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대뇌기저핵(basal ganglia) 부위에서 발생하면 4.68배까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가 27.5미만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즉 무증상 뇌졸중 2.75배, 열공성 뇌경색 3.87배, 뇌기저핵부위는 7.86배로 이는 뇌졸중의 주요 위험인자 중 하나로 알려진 체질량지수와 관계없이 수면무호흡은 뇌졸중과 독립적인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뇌졸중은 흔히 뇌 조직이 괴사하는 뇌경색과 뇌혈관이 터지는 뇌출혈로 나타난다. 무증상성 뇌졸중은 평소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이 없어 정밀건강검진을 받거나 다른 질환으로 뇌촬영을 하다가 우연히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고려대 안산병원 수면장애센터 신철 교수는 "수면무호흡이 일어나는 동안 대뇌 동맥 혈류 및 산소 공급이 감소되는데,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뇌조직의 괴사가 진행되거나 급성 혈전이 생성되어 뇌경색, 뇌동맥경화 및 뇌출혈로 이어진다" 고 설명하고, "수면무호흡 증상이 있는 경우, 무증상성 뇌졸중이 발생할 확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치매와 같은 인지기능의 장애가 발생할 위험이 커지므로, 조기에 진단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뇌졸중 발생률은 최근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국민건강영양조사(2010)에 따르면, 뇌졸중의 유병률은 50세 이상에서 2.9%, 65세 이상에서 4.5%로 여전히 사망 및 장애의 주요 질환이다. 신철 교수는 "뇌졸중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고령, 고혈압, 부정맥, 고지혈증, 당뇨병, 과음, 흡연 등과 더불어 수면무호흡이 있다고 판단되면 즉시 뇌졸중 위험을 인지하고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는 유럽수면연구회 공식 학회지인 <Journal of Sleep Research> 최신호에 게재됐다. 임정식 기자 dad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