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30대 남성 김 모씨는 몇 달 전부터 입안 통증이 계속돼 고민이 많았다. 스트레스로 인한 단순한 구내염으로 생각하고 약을 먹었지만, 증상에 차도가 없고 턱 부위의 통증까지 시작돼 병원을 찾았고 구강암을 진단 받았다.
구강암 환자 10명 중 3명은 혀에 악성종양이 생기는 설암으로 고통받는다.
혀는 외부로부터 가장 자극을 많이 받는 부위이기 때문이다. 특히, 치아로 잘 씹히고 보철물 등에 자극을 잘 받는 혀 양쪽 측면에 암이 잘 발생한다. 이외에도 잇몸이나 혀 밑바닥에 구강암이 생기기도 한다.
구강암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구강 위생관리에 신경 쓰고 금연과 금주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특히, 구강암은 흡연과 음주를 즐기는 남성에게서 발병률이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금연과 과음은 반드시 삼가야 한다. 또한, 잘 맞지 않는 틀니나 치아 보철물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손상되는 구강 점막에 발생한 상처가 구강암을 유발하기도 해 주기적 검진이 필요하다.
구강암 치료는 종양의 위치와 병기에 따라 달라진다. 대개 수술적 치료가 우선적으로 시행되며, 방사선 치료나 항암치료가 병행된다. 수술적 치료에서는 구강이나, 경부, 턱 등을 통해 종양과 종양이 침범한 주변 조직을 함께 제거한다. 이후, 팔이나 다리의 뼈, 가슴 부위 등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게 된다. 수술 후에는 발음이나 식사 등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어 재활치료가 병행된다.
구강암은 조기에 진단될수록 예후가 좋다. 초기 암의 경우 5년 생존율이 90% 이상이다. 그러나 병기가 진행될수록 생존율이 크게 감소하므로 정기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필수적이다. 치료 후에도 새로운 구강암이나 두경부암의 재발 가능성이 있어 철저한 구강 위생 관리와 정기적인 검진이 중요하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구강악안면외과 황보연 교수는 "구강암은 초기에 발견할수록 치료 효과가 높고 기능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며 "만약 2주 이상 입안에 염증과 통증이 지속된다면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해 검진을 받는 것이 조기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