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고령 환자라도 암이나 심장 수술 등 고난도 수술 치료가 가능한 가운데, 80세 이상 환자의 척추수술 안전성을 규명한 연구결과가 국제학술지(미국, Global Spine Journal)에 게재됐다.
겨울철은 기온이 떨어지면서 척추 주변 근육이 경직되어 허리통증이 심해지기 쉽다. 허리통증의 주 원인인 척추관협착증은 노화가 진행되면서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통증을 유발한다. 통증을 줄이기 위한 약물 치료나 신경관 주변에 소염제를 주입해 통증을 경감시키는 비수술적 치료를 먼저 시행한다. 하지만 보존적 치료가 효과가 없고 신경 손상으로 보행이 힘들거나 배변, 배뇨에 문제가 생기면 척추 수술을 고려하게 된다. 특히 고령환자는 척추 질환에 취약하지만 수술에 부담을 느껴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척추 수술을 크게 척추를 압박하는 신경만 제거하는 척추 감압술과, 감압한 부위를 나사 고정과 뼈 이식으로 붙이는 척추 유합술로 나뉜다. 고령 환자는 척추 불안정성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척추 유합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최근 척추 수술은 작은 절개창을 이용한 유합 수술이 발전되어 상처와 흉터가 작을 뿐만 아니라 수술 후 회복에 핵심적인 척추 근육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고 신경 또한 최대한 자극하지 않는 방법으로 감압 및 유합술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술은 더 안전하고 회복시간은 짧아졌다.
김영훈 교수는 "80세 이상의 환자라도 기저질환의 관리와 수술 계획을 잘한다면 큰 합병증 없이 잘 회복될 수 있음을 이번 연구로 확인한 만큼, 수술에 대한 부담감이 높은 고령 환자들이라도 면밀하게 평가하고 척추 수술을 계획한다면 척추 질환으로 인한 고통에서 해방되면서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일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