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난 5일 SK하이닉스 HBM 생산 현장을 찾았다. AI 반도체 현안을 챙겼고, 미래 추진 사업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최 회장은 "SK하이닉스가 지금은 HBM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지만, 내년에 6세대 HBM(HBM4)이 상용화되면 더욱 경쟁이 치열해질 것"라며 "현재에 안주하지 말고 차세대 수익 모델에 대해 지금부터 치열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인공지능(AI)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로, AI의 거센 흐름 속에서 SK의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하려면 지속적인 R&D와 효과적인 투자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측하기 어려운 반도체 사업 환경 속에서 힘을 모아 전략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최 회장은 "최근 해외 빅테크들이 SK하이닉스의 HBM 기술 리더십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라며 "3만2000명 SK하이닉스 구성원들의 끊임없는 도전과 묵묵한 노력의 성과로서 AI를 이끄는 일류 반도체 회사로 거듭날 수 있도록 더욱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최 회장은 지난 4월 미국 앤비디아 본사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CEO를 만나 글로벌 AI 동맹 구축 방안을, 6월에는 대만을 찾아 웨이저자 TSMC 회장과 양사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어 지난 6월 말부터 약 2주간 미국에 머물며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인텔 등 美 주요 빅테크 CEO와 연이어 회동하며, SK와 AI 및 반도체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최 회장은 지난 7월 대한상의 제주포럼에서 국내 주요 AI 분야 리더들과 만나 AI 시대의 미래 전략을 논의하는 등 국가 차원의 AI 리더십 강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앞서 지난 6월 그룹 경영전략회의에서 최 회장은 그룹 차원의 AI 성장 전략을 주문한 바 있다.
SK 관계자는 "HBM, 퍼스널 AI 어시스턴트 등 현재 주력하고 있는 AI 분야에 더해 AI 데이터센터 구축 등 AI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할 것"라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