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일건설이 부실시공과 '벌떼 입찰' 의혹 등 잇단 논란에 휩싸였다. 제일건설은 지난 2010년 국토교통부 시공능력평가 165위에서 지난해 20위에 오를 정도로 급성장한 중견 건설사다. 그러나 이번 논란으로 관계 당국과 정치권으로부터 질타를 받고 있다.
하자 보수 요청했더니 벽에 '그냥 사세요' 낙서…입주민 분통
결국 지난해 말 있었던 사전점검 기간 하자 문제까지 수면 위로 드러나며 논란이 커졌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벽에 균열이 가 있고, 마감이 안 돼 철골이 그대로 노출 돼 있는 사진 등이 올라왔다. 어떤 세대는 발코니 창호가 없고 벽지가 뜯겨 있기도 했다.
문제가 불거지자 충주시는 신축 임대아파트와 관련한 부실 공사 논란에 대해 제일건설 측에 전수조사를 지시했다. 시는 조롱성 낙서에 대해서 협력업체 직원의 소행으로 추정하고, 해당 가구에 대해 8일 하자 보수를 마쳤다고 전했다. 전체 가구에 대해서도 하자 조사 후 즉시 보수하도록 했다.
시 관계자는 25일 "균열과 철골 노출 등은 지난해 말 사전점검 기간에 지적된 문제로, 입주기간 전에 조치가 완료된 것으로 안다"며 "현재 입주에 문제가 있는 세대는 없는 것으로 파악했다"고 말했다.
해당 문제를 계기로 국토교통부도 지난 12일부터 한국토지주택공사(LH) 품질관리단, 하자분쟁조정위원회, 주택도시보증공사와 함께 '하자 점검단'을 구성하고 민간 임대아파트에 대한 전수조사에 들어갔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도 지난 8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공공이 지원하고, 민간업체가 시공한 서민 아파트에서 이런 일이 발생해 황당하다"고 지적하며 "민간 임대아파트에 대한 하자 민원이 신속 처리되도록 하겠다"고 나섰다.
제일건설 측은 현재 전수조사 후 하자 조정에 들어간 상태다. 조롱성 낙서로 기업 이미지를 실추시킨 건에 대해서는 진상을 밝히기 위해 향후 경찰 고발까지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제일건설 건설사업부 관계자는 25일 "조롱성 낙서를 한 직원은 찾지 못해 경찰 고발까지도 고려중"이라며 "AS 관련 인력을 대폭 보강해 모든 세대에 대해 성실히 하자 보수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는 입주 매니저들을 별도 채용해 사전 전수 조사 후 입주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개선해 이 같은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벌떼 입찰' 의혹 경찰 수사…국회에서도 도마 위에 올라
최근 제일건설을 둘러싼 논란은 이 뿐 아니다. 공공택지 입찰 시 계열사를 무더기로 내세워 확률을 높이는 이른바 '벌떼 입찰'과 관련 경찰 수사가 진행 중이다.
광주경찰청은 제일건설이 LH가 발주한 공공택지 입찰에서 계열사를 동원해 낙찰률을 높인 혐의로 수사 중이라고 전했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0월 제일건설 등 건설사들이 벌떼 입찰로 공공택지를 낙찰받은 것으로 의심해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현행법상 아파트 용지는 1개 건설사가 하나의 입찰권을 행사해야 하지만, 당첨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개의 계열사나 페이퍼컴퍼니 등을 내세워 입찰에 나서는 행위를 벌떼 입찰로 본다. 이는 당첨 확률을 부당하게 높이고, 회사 설립·유지 경비를 분양가로 전가해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해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제일건설 등 5개 건설사가 지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178필지의 공공택지 중 67필지(37%)를 낙찰받았다고 주장했다. 제일건설은 이 중 7필지를 가져갔다. 강 의원은 일부 건설사들이 벌떼 입찰로 단기간에 대폭 성장했고, 건설 시장경제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제일건설 주택사업본부 관계자는 "회사 측에서 밝힐 공식 입장은 없다"며, "경찰에서 조사가 진행되면 소명할 부분에 대해서 소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우진 기자 kwj1222@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