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취업자 수, 22년 만에 최대 증가 폭 기록했지만…상당 수는 고령층 직접 일자리

조민정 기자

기사입력 2022-06-15 08:27 | 최종수정 2022-06-15 09:24


5월 취업자 수가 1년 전과 비교해 90만명 넘게 늘면서 같은 달 기준 22년 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이후 일상 회복 분위기가 이어지며 모처럼 음식·숙박업 일자리가 늘었지만, 일자리 수 증가분의 상당 폭은 여전히 고령층 직접 일자리가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48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93만5000명 늘었다. 5월 기준으로만 보면 지난 2000년(103만4000명) 이후 22년 만의 최대 증가다.

증가 폭은 취업자 수가 100만명 넘게 증가했던 올해 1월(113만5000명), 2월(103만7000명)에 비해 둔화했으나, 3월(83만1000명), 4월(86만5000명)보다는 늘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대표적인 대면·서비스 업종인 숙박·음식점업(3만4000명) 일자리가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해제되며 대면 소비가 회복한 영향인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정부가 세금을 투입한 직접 일자리 사업이 포함되는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7만8000명)·공공행정(9만9000명) 등 취업자도 눈에 띄게 늘었다. 지방선거 유세 기간 중 일시적으로 늘어난 일자리도 일부 통계에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60세 이상(45만9000명) 고령층 일자리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0%로 작년 동월 대비 1.8%포인트 올라 동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한편 실업자 수는 88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25만9000명 감소했다. 실업률은 3.0%로 1.0%포인트 떨어지며 동월 기준으로 2013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587만1000명으로 1년 새 48만명 줄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일상회복에 따른 대면 업종 개선 등으로 취업자는 증가하고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는 감소해 고용 증가세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당신은 모르는 그 사람이 숨기고 있는 비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