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전자산업, 日 제치고 세계 3위…'반도체 편중' 극복 과제 지적도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19-07-30 14:29


한국이 지난해 전세계 전자업계에서 중국과 미국에 이어 3위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보다 앞섰고, 최근 5년간 주요국 가운데 3번째로 높은 성장률세를 보이며 'IT 강국'반열에 올라섰다는 평가다. 다만 반도체 등 전자부품에 대한 편중 문제는 극복해야 할 과제라는 지적이다.

30일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가 발간한 '세계 전자산업 주요국 생산동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전자산업 생산액은 1711억100만달러(약 202조7000억원)로 집계됐다. 글로벌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8%에 달했다. 중국(7172억6600달러·37.2%)과 미국(2454억2200만달러·12.6%)에 이은 3번째다. 2013년(1111억7900만달러)과 비교하면 53.3%가 증가, 일본을 제치고 한단계 올라섰다.

특히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9.0%에 달하면서 상위 20개국 가운데 베트남(11.7%)과 인도(10.9%)에 이어 세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중국과 미국의 증가율은 각각 2.9%와 1.0%였고, 일본은 -2.3%를 기록하며 '역성장'했다.

그러나 한국이 글로벌 전자업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반도체 등 전자부품에 대한 편중이 심화되고 있는 것은 극복해야 할 문제로 꼽힌다.

한국이 지난해 전체 전자산업 생산에서 차지한 전자부품 비중은 77.3%로, 5년 전보다 18.8%가 늘었다. 무선통신기기와 컴퓨터는 각각 10%와 7.8%로 뒤를 이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LG전자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연구개발(R&D)과 설비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면서 한국이 전세계 전자업계에서 입지를 넓힌데 따른 결과다. 중국과 미국이 각각 컴퓨터 분야, 무선통신기기서 시장 우위를 바탕으로 다양한 전자산업 분야에서 고른 비중을 보이고 있는 것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같은 점에 주목, 한국의 경우 반도체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 중국, 미국 등과 비교했을 때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최근 일본의 한국 소재 수출 규제와 같은 '돌발변수'가 발생했을 때 '공포 지수'가 급격히 올라가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KEA 측은 아와 관련해 "반도체 의존도가 높다는 우려도 나올 수 있지만 분명히 반도체는 높게 평가해야 할 성공 사례로 다른 산업이 따르지 못했다고 보는 게 더 적절하다"며 "중국의 경우 자국 업체도 많이 성장했지만 미국과 한국, 일본 업체들의 현지 공장이 많은 점이 세계 1위 자리를 지키는 요인"이라고 밝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