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대식 기자]위르겐 클린스만이 생각하는 감독이란 선수단 분위기에 많이 개입하는 사람이 아니었다. 클린스만이 한국 대표팀의 내부 문제를 왜 방관했는지를 알 수 있었던 인터뷰였다.
|
우회적으로 한국 국가대표팀을 비판하다는 것 같은 발언이다. 클린스만 감독은 지난 1년 동안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을 이끌면서 라커룸 문제를 방관했다. 젊은 선수들과 베테랑 선수들이 제대로 융화되지 못하면서 하나의 팀이 되지 못한 대한민국은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4강에서 여정을 마무리해야 했다.
대회가 끝난 뒤에는 손흥민과 이강인의 다툼 사실이 대한축구협회를 통해 확인되면서 라커룸 문제가 얼마나 심각했는지를 전 세계가 목격했다. 클린스만 감독은 한국이 아시안컵에서 실패한 이유가 선수단의 불화라고 꼬집으면서 자신의 잘못은 없다는 입장을 꾸준히 내세우고 있다.
|
모든 감독마다 스타일이 상이하겠지만 점점 축구판은 감독이 역량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클린스만은 전혀 시대를 따라가고 있지 못하는 모습이다. 선수들이 각자 모든 걸 알아서 하라는 식으로 포장한 방관식 지도력은 결국 클린스만 감독을 사지로 내몰았다. 안타깝게도 한국 축구는 이런 감독을 데려와 한국 축구 역사상 최고의 전력을 갖춘 시기에 아시안컵 우승에 실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