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최만식 기자] 남자프로농구 원주 DB 외국인 선수 치나누 오누아쿠의 부상공시를 두고 잡음이 일고 있다. 한국농구연맹(KBL)이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원칙을 위반했다는 지적과 함께 제도 개선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7일 스포츠조선 취재를 종합하면 KBL은 최근 오누아쿠에 대한 부상공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불공정 논란을 초래, 일부 구단의 불만을 사고 있다.
오누아쿠는 지난 13일 부산 KCC전 도중 부정맥 증상을 보여 경기에서 제외됐다. 2016년 부정맥 수술을 받은 적이 있는 오누아쿠는 이후 미국으로 돌아가 정밀진단을 받은 뒤 18일 관절경 시술을 받았다. 시술 이후 2주일 정도 휴식이 필요하다는 진단도 나왔다. 이후 KBL은 지난 24일 DB 구단의 신청에 따라 오누아쿠에 대한 부상공시를 했고, DB는 25일 일시 대체 선수 로버트 카터 영입을 발표했다. 이 과정에서 KBL은 사전에 타 구단들의 양해도 구하지 않고 규정의 예외를 적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KBL 규약 제62조에 따르면 외국인 선수 부상공시는 KBL 자문의로부터 2주 이상(국내선수 4주 이상) 선수 활동 불가 진단을 받아야 내려진다.
|
하지만 오누아쿠의 경우 자문의와 대면하지 않고, 미국 현지로부터 진단자료를 통신망으로 전달받아 판정을 내렸다. KBL은 '다른 부상도 아닌 심장 질환이고, 절대 안정이 필요한 상황에서 곧바로 비행기를 탈 수 없는, 불가피한 사정을 고려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타 구단들은 KBL이 그동안 관련 규정 개선 요구에 '원칙'만 고수하더니 최초의 예외 사례를 남기면서 아무런 사전 협의나 공지도 하지 않았다며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 공교롭게도 DB가 KBL 총재사 구단이어서 곱지 않은 시선이 쏠리기도 한다.
|
이처럼 '전가의 보도'처럼 고수해왔던 원칙을 KBL 스스로 거스르면서 타 구단들 모르게 업무 처리를 하자 비판을 받게 된 것이다. B구단 관계자는 "오누아쿠의 부상 특성상 KBL이 사전에 양해를 구했다면 반대할 구단은 거의 없었을 것이다"면서 "KBL이 일종의 밀실행정을 한 셈인데, 하필 대상이 DB여서 괜한 오해를 사게 만들었다"고 꼬집었다. C구단 관계자는 "오히려 잘 됐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비대면 진단 기술도 발달한 데다, KBL이 먼저 원칙의 예외를 만들었으니 관련 규정 개선을 본격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만식 기자 cm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