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용 기자] 이 미세한 차이가 승부를 갈랐다고 생각하면...
곧바로 이어지는 2차전에 1차전 영향이 미치지 않을 수 없었다. 특히 삼성 선발은 젊은 사자 황동재. LG 트윈스와의 플레이오프에서 호투하기는 했지만 상황이 달랐다. 당시 LG 타선을 준플레이오프 여파로 힘이 많이 떨어진 상태였고, 구장도 투수들에 부담이 없는 잠실이었다. 반대로 이날은 팀이 1차전에서 역전패 당하며 절체절명의 순간인 가운데, 기세가 오른 KIA 강타선을 맞이해야 했다.
그래도 1회초 톱타자 박찬호를 상대로 씩씩하게 던졌다. 패대기볼도 있었지만 테일링이 심한 구위는 나쁘지 않아 보였다. 볼카운트 2B2S. 황동재가 회심의 바깥쪽 슬라이더를 던졌다. 그런데 박찬호의 방망이가 나오다 멈췄다. 황동재와 포수 강민호는 1루심을 향해 스윙 여부를 물었지만, 박기택 심판은 단호했다. 노스윙.
|
풀카운트에 몰리자 황동재가 긴장할 수밖에 없었다. 슬라이더가 크게 빠져나갔고 볼넷이 됐다. 선두타자가 나가자 황동재는 크게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었고, 안타 5개를 얻어맞고 무너졌다. 포수 강민호의 실책도 있기도 했지만, KIA 강타선에 황동재가 이겨내지 못하는 모습이었다.
만약 박찬호의 체크스윙이 인정돼 삼진이 됐다면. 황동재의 투구가 또 달라졌을지 모른다. 삼성이 1회부터 5실점 하며 승기를 내주지 않았을 수도 있다. 정말 순간의 플레이 하나가 결과를 바꾸는 게 야구다.
|
박찬호의 스윙과 비교할 만한 장면이 곧바로 이어졌다. 2회초 삼성 이재현이었다. 양현종의 바깥쪽 공에 똑같이 배트가 나가다 참으려 했다. 하지만 이재현의 경우 스윙콜을 받았다. 체크스윙은 ABS처럼 기계가 판정하는 게 아니라, 사람의 눈으로 판단하는 것이기에 오차가 아예 없을 수는 없다. 하지만 이재현의 경우는 확실히 배트 헤드가 박찬호의 스윙보다 더 돌아간 모습이었다.
김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